법무연구 5권(2015.4)
152 법무연구 제5권 (2015. 4.) <표 3> 한국주재 외국인 지역별 거주현황(2014. 1. 1. 기준, 안전행정부) 대한민국 주재외국인 지역별 거주 현황(2014. 안전행정부) 구 분 전 체 남 성 여 성 비 고 전 국 295,842 48,787 247,055 서 울 73,801 19,377 54,424 부 산 11,529 1,317 10,212 대 구 7,580 809 6,771 인 천 18,222 3,142 15,080 광 주 5,336 417 4,919 대 전 5,575 604 4,971 울 산 5,497 626 4,871 세 종 650 61 589 경 기 86,337 16,793 69,544 강 원 6,590 399 6,191 충 북 8,370 718 7,652 충 남 13,460 1,209 12,251 전 북 9,951 497 9,454 전 남 11,129 400 10,729 경 북 12,620 802 11,818 경 남 16,217 1,270 14,947 제 주 2,978 346 2,632 2. 다문화가족에 따른 인구변동 전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가 정부수립 이후 외국인이 1백만 명 증가하는데 60여년이 소요되었으나 2007년 이후에는 불과 5년 안에 같은 수의 변화가 생겼으며, 2020년에는 이민자의 수가 300만 명으로 이주자 수는 총인구 대비 8.83%까지 증가하리라고 예측하 고 있으며, 이글의 중심주제인 다문화가족도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결혼이주 자 수는 2002년 이후 매년 28%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다가 2007년부터는 증가율 이 점차 둔화되기 시작했으며, 2009년에는 이주민 국적국의 국제결혼제도 강화 등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