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를 치유할수 없다. 필자는 여러 가지 방안중가장 근본이 되면 서 도 당장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실현 할 수 있는 방법 하나를 제의하고 싶다. 신생아들에게 우유가 아닌 모유를 수유하라 는 것이다. 모유를 수유받고 자란 사람들은 다 기억할 것이다. 업마 젖을 물고 엄마 품에 안겨 엄마와 따뜻 한 체온을 교류하며 애정어린 눈빛을 교환하 였던 아련한기억들을 •.• 부모의 소중합과 자식에 대한 사랑을 체온 으로 느끼고 상호간 신뢰를 쌓으며 가족 관계 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귀중한 추억들을 축 적하게 된다. 유아 시절의 스킨쉽(Skin Sfip鳩- 원만한 성 격 형성에 자양분이라고 한다. 이렇게 자란 아이들이 어떻게 부모의 고마 움을 모르겠으며 이런 부모가 어찌 아이들을 버릴 수 있겠는가. 많은 부모들이 출산 전 태아 교육에는 관심 을 두면서도 정작 출산 후 건강과 안정적 정서 교육의 요체인모유수유는회피하고 있다. 지난 85년 60%이던 국내 모유 수유율이 98 년에는 20%안팎으로 뚝 떨어졌다고 한다. 출생 순간 산모와 신생아를 격리해 놓고 무 조건 분유를 먹이는 의료기관의 관행, 여성의 사회 활동 증가, 가족의 지지결여 등이 주요 원인이다. 반면 미국에서는 60년대 25%이던 것이 현 재는 75%로 높아졌다고 한다. 아이들의 건강과 원만한 성격 형성을 위하 여 국가 차원에서 적극 홍보, 장려한 결과이 I 영 | t이 에 | 세 | 01 I 댜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아기에게 젖을 물리고 있는 엄마의 모습이라고 한다. 출생시부터 부모, 자식간의 소중함을 체험 케하는 모유 수유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어 가 족 관계의 황폐화를 막고 집집마다 사랑과 웃 음이 넘 치는 가정으로의 복원에 이 운동이 일 조하게 되기를 소망해 본다. 가정의 달 5월이 오면 필자에게 잊혀지지 않 는사건 하나가 있다. 필자가 대전지방법원 가사조사관으로 재직 할때의 일이다. (갑)남과 (을)여는 30대 후반의 부부로서 슬 하에 11세된 아들과 9세된 딸을 두고 행복한 삶을이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신의 저주인가. (갑)남의 폐병이 심화되어 다니던 직장도 그 만두고 병원비도 없어 집에서 요양하고 있는 동안 (을)여는 식당 종업원 생활을 시작하였 댜 어느날 부터인가 (을)여의 생활에 이상징후 가 보이기 시작하더니 아예 가출하여 이따금 집에 안부 전화만을 걸어오는 정도였다. 가출 3개월후, 전화 연락마저 끊기고 행방 이 묘연하던 중 난데 없이 이혼청구 소장의 부 본이 (갑)남에게 송달되 었다. (을)여가 소위 재판상 이혼을 청구한 것이 댜 청구원인에는 배우자의 지병악화로 인한 부 부생활의 곤란, 생활무능력으로 인한 부양능 력상실, 빈번한 폭력행사등의 사유를 적고 있 였다. 민법 제840조의 재판상 이혼사유 중 제3항, 대만법무사임~ 61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