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계한전술최’고 17) 위「주석 강제집행(II)」323쪽 18) 위「법원실무제요(임시판)」326쪽, 이재성「학설 • 판례 주석 강세집행법」(1974, 한국사법행 정학회) 354쪽, 한종열 「민사소송법 (하)」(1995, 대학출판사) 164쪽 19) 구민사소송법 제609조 제2항, 독일 민사소송법 제840조 제2항, 일본 민사집행법 제147조 제2항 20) 위「실무 강제집행법(3)」170쪽, 제3재무자가 진술하지 않는 부작위(不作爲)에는 책임을 부 정하고, 다만적극적으로사술(詐術)을쓴경우에만책임을묻는것이 상당하다. 위「학설 • 판례 주석 강제집행법」354쪽 21) 일본 요코하마지방재판소 1986. 10. 31 판결 22) 적법한 신청이 있었음에 집행법원이 이를 간과한 때에는 압류명령이 송달된 뒤에도 최고 를 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 위「법원실무제요(임시판)」324쪽, 위「주석 강제집행법(II)」 319~320쪽, 독일 Steim/Jonas §840 Rdur.5도 압류명령 송달후의 사후의 최고를 인정 한다. 23 ) 민사소송법 제 150 조 鄭相泰 |법무사 부산경상대겸임교수 대만법무사럽~ 15 I I1.••••••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I I I I I I 日 I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