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법무사 6월호

I 隨 想 "왜 n봐론을아느냐고묻는다던’’ 1 왜 마라톤을 아느냐고 묻는다면 I 70 法務士6 월모 이 생이란 흔히 마라톤에 비유한다. ,_너무 앞질러도 너무 느려서도 매력이 없는 것이 바로 마라톤이고 보면, 누가 뭐라 해도 개의할 필요없이 그저 자기 능력과 페 이스에 맞춰서 분수를 지기며 지속적으로 꾸준히 살아가는 지고한 삶의 모습 또한 우 리네 인생이 지향하는 길이 아날까싶다. 마라톤은 끊임 없는 고통과 인내를 통하여 성숙되는 자기발견이요, 긴 여정 끝에 성취 의 열매를 잉태하는 창조적 자기표현이다. 왜 마라톤을 하느냐고 묻는다면 마라톤을 할수 있다는 것은그만큼 정신적 및육제적 으로 건재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표상합이 요, 이 러한 건재한 육신을 토대로 항시 성그 러운 젊음을 유지하고 창조하며 생동력 있고 박진감있는 삶을 영위하고자 나는 마라톤을 즐기고 사랑하며 마라톤과 합께 나의 인생 도 같이 간다고 말할수 있으리라.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고 일등 뒤엔 반드 시 꼴찌가 있고 과정이 있으면 결과가 있고 춘하추동의 자언의 섭리에 따라 인생도 홀 러가는 것처럼 돌고 도는 人生流轉의 희비 를 마라톤 코스를 완주하는 그 자제에 비견 합은 지나전 자기 망상적 비약일까? 흔히 '‘젊음’’ 하면 성성한 상록수 또는 피 끓는 청춘이 상기되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젊음이라는 단어가 상징하듯이 무더운 여릅 날에 뜨겁게 타오로는 붉은 태양만큼이나 강렬한 열정으로 자신의 존재의식을 외부에 드러냄으로써 그 투철한 용기와 집요한 신 넘으로 분출되는 도전욕구를 실현하고자 하 는의연한기품이 상시 내포되어 있음을웅 변적으로 표상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실로 젊다는 것은 어느 누군가의 말처럼 육제적으로 강건하고 정열이 왕성합 그 자 체보다는 시런과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강철같은 투지와 과감한 용기로 끊임없는 도전의 출사표를 내걸고 기꺼이 웅전합으로 써 무한한 외도의 가능성을 창조하고 개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야 하지 않 을까한다. 그래서 인생은 창조적 자기표현이라고 했 던가. 흔히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고 나면 살아가는데 거침이 없으며 어떠한난관도두 렵지 않다고 한다. 실로 공감이 가는 말이다. 어디 평법한 인긴이 42.195km를 단숨에 달 린다는자재를 상성이나할 수 있는 일인가. 인간한계인 풀 코스를 완주한 그 자체만 놓고 보더라도 평범의 도를 능가한 기인의 경지에서 인간승리의 찬사와 함께 가히 칭 송할만하다. 우리의 인생역정이 험난하여 마치 격랑의 노도를 타고 표류하는 기관사의 운명으로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