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 때문에 빵을 먹을 때는 그 많은 사람들에게 감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인지 몰라노 구약성서를 믿는 기독교, 유태교 등 문화권에서는 식사할 때마다 감사기도를 잊지 않는 것 같다. 서양에서 밀 한 톨이 생겨나기까지 15단계를 거쳐야 한다지만 우리나리에서는 쌀 한 톨이 생겨나기까지는 80여단계를 거처야 한다고들 한다. 몇배가 많은 사람들이 몇배가 많은단계의 일을대신하여주는대도불구하고대부분의사람들은식사할때 감사하다는 마음을 표시하는 예가 별로 없는 것 같다. 서양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빈도높게 쓰는 일상 용어 50개 가운데 감사하다는 말이 28%로 으뜸이 라는 조사보고도 있었다. 고들은 작은 물건을 살때도감사하다는 말을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파는 사람이 고맙다는말을 한다. 감사에 대힌 깊은 철학의 자이인지는 몰라도사실 파는 사람도 때로는 감사에 인색 할 때가 많다. 물건을 산 손님이 돌아설 때 감사하다고 말하는 사람보다"또 오섭시요”하면 서 이 기 적 인 요구를 하는 사람이 많다. 장난감을 사주면 아이들도 감사하다는 말보다 신 난다는 말이 앞서기 마련이다. 우리사회에 독버섯처럼 번져있는 각종 비리도 결국은 감 사 불감증에서 비롯된다. 마음속에 감사가 사라지면서 그 자리를 차지한 탐욕이 각종 미 리의 주범들을부끄럽게 만든 것이다. 하냐님에게 감사하건 농부나 근로자에게 감사하건 조상 • 부모에게 감사하건 감사한 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냐와낚과를 부드럽계 결속시기는데 감사는 매우 효과적 인 윤활유가 되며 집착제안 것이다. 감사의 마음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사 희는 어김없이 어둠속에 휘말리고 만다. 고통속에서 감사의 재물을 바쳤던 청교도들이 위대하게만 느껴진다. 새로운세기를 맞이하여 우리사회가 보다 한단계 이상을 도약할려 민 무엇보다도 감사불감증부터 지유해야할 것이다. 姜 正 煥|법무사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