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 I 人生輯十 人生五計 넷째 노계(老計) 노계는 시람이 늙고 병들었을 때를 생각히여 미리 노후를 위한 대비책을 말한다. 시람이 이 세상에 태 어나면 늙고 병들고 결국은 어느 시기 에 가서는 죽기 마련이다. 이것이생노병사의자연의순리라고할수 있다. 고러므로축기전에 미리 이에 관한 대비책이 필요 하다. 하기야늙고 병이 들어도효녀심청이나한석봉 과 같은 만고의 효녀 효자가 있다면야 무슨 걱정 이 있으리마는 오늘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잔병 없이 잘 자라서 말썽부리지 않고전강하계 잘살기만하면그 로서 족하다. 이런 것이 이땅에 살고 있는 모든 부모 들의 한결같온미음일께다. 옛말에 자식의 마음속어距- 칼이 들어 있으나 부모 의마음속어臣언제나부처가들어 있다고했다.그것 은 자식 시랑하는 부모의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 같이 변함이 없다고하는 자정 燈請沼뀜坪辻다. 그런데 요즈음의 자식들은 어떠한가? 그래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부모가 되어 진자 리 마른자리 가려가면서 나쁜음식 안먹 이고 좋은 학 교를 졸업시켜 짝을 지워 집을 마련하여 새살림이라 도내주게되면 이 모두가자기네들의 홍복인줄만알 았지 부모의 온공은몰라준다. 그러다가 어느날부모 가축거나, 혹은그들이 성숙히여 아들딸출산하여 장 가 시집 보내뵈야 늦으냐마 그때가서 깨우치게 된다. 그러한 연고로 해서 현대사회에서는 부모가 되어 노후에자식들에게의지하고살생각은이예 접어두 〈지난호에 이어〉 어야하며 늙어 죽을때까지 자력으로 독립하이 살수 있는대비책을 세워야하고고것은바로 경제와직결 되는일이다. 고렇지 못할 경우어臣-공들여 키워놓은 자녀들로 부터 부모의 대우를 기대하기 가 어려운 일이며 오히 려 천대꾸러기가 되어 무자식 상팔자라고 하는 탄식 의소리가나오게된다. 다행히도우리와같은직역(職域)에종사하고 있는 시람들은 전문직업 안으로서 언령 에 관계 없이 살아있 는동안어杓자기 손으로용전이라토벌어 쓰고 있으 니 고래도다행한 일이다. I 1) 현대사회는 고령화사회라고 한다 그것은 옛날에 비하여 생활이 향상되고 삶의 질 또 한 높아져서 평균수명 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러면 고령화사회라고 히는 뜻부터 먼저 알아보자. 유엔의 인구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6군]] 이상의 인구가 그나라 총인구의 7%이상일때를 가지고 고령 화사회라고한다. 고러나 고 비윤이 14%이상이 되면 고령사회이며, 20%이상이며 비로소 초고령사회라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현실온 어떠한가.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2003년도 7월 30일 현재 6장11이상의 노인이 우리나라 인구의 7,2%가 되며 그 인구 숫자는무려 310만명이나 된다고 한다. 고러므 로 우리나라도 이미 고령화사회로 신입했다고 하는 대만법무사엽외 61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