這의 由來와 五賢에 對한 小考 文廟라는 뜻은 武人아닌 文人學者中에서 影禎(畵像眉f 모셔놓은 祠堂을 말하는 것인데 이 文廟에 配享되어있는 여러 聖賢중 李朝때 王命으로 配享된 다섯분을 五賢 이라고 敬稱하고 있는데 그 五賢을 年齡順으로 紹介하면 (1) _률 (일두) 鄭汝昌先生 (2)寒曜堂(한훤당) 金宏弼先生 (3) 靜菴(정암) 趙光祖先生 (4) 腐齋(회재) 李彦迪先生 (5) 退溪 (퇴계), 李混先生을 指稱하는 말이다. (-) 文廟의 由來 文廟는 서울 鐘路區 明倫洞에 있는 成떠館大學校內에 있고 聖빵을 配亨하고 있는 廟宇信]堂)이다. 01 制度는 孔 子(文宣王)를 비롯하여 中國의 四聖億頁子, 曾子, 子思 孟子)를 配享하고 孔FT의 十哲과 宋朝의 六賢을 配亨하였고 우 리나라어林1는 新羅 高麗 朝鮮朝의 名賢18位를 從祀하여 太學生個t均館儒生과 學生)들으| 師表로 하는 廟宇 (神位를 모신 祠堂)로서 中央에는 成均館 地方에는 各鄕校에 세워져 있다 이 制度는 新羅聖德王 13年(西紀714) 甲寅에 唐나라어囚 孔子(文宣王)와 十哲 및 弟r 72A의 影禎(畵像)을 모셔오 게 되므로써 始作된 것이라 할 수 있고 現在 保存되고 있는 成均館의 文廟는 朝鮮 太祖7年 (1~8)에 創建하였는데 定宗m(1400)에 뭄탔고 고 후 再建重修하였으나 壬辰倭亂때 붕타서 宣祖34年(1601)에 再建한 것이다 이리하여 朝 鮮朝에사는 孔구를 主壁中央正位)으로 하고 四聖과 十哲 宋賢6位를 大成殿左右에 配享하고 東西兩鹿에 各各 中國 의 名賢47位와 우리나라名賢9위를 從祀하여 오다가 祖國光復後 己丑年(1949)에 全國儒林大會의 決議에 依하여 東 西兩鹿에 傅는 행랑이라는 뜻) 從祀했던 中國名賢47位으| 位板은 埋安하고우리나라의 名賢181立를 大成殿으로 陸堂 (올린다)配享하여 現在에 0|르고 있다. 現在 大成殿에 답맘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名賢 18人은 다음과 같다 (―)新羅때의 人物 (1 ) 弘儒侯 薛聽(셜총) 先生 (서기 655年生) (2) 文昌侯孤雲崔致遠 先生 (서기 857年生) (二)高麗때의 人物 (3) 庵軒安 消先生(서기 1243年生) (4) 園隱鄭夢周先生(서기 1337年生) (三)李朝때의 人物 (5) ―률 鄭汝昌先生(서기 1450年生) (6) 寒禮堂金宏弼先生(서기 1454i¥生) V) 靜菴趙光祖先生(서기 1482年生) I 56 法務士]1 일모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