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법무사 2월호

나타"峻 ’ 이러한 근거는신라 전홍왕이 한창강토를 넓혀 갈 때 그의 경계표시로 세운 4대 순수비(巡狩碑)인 북한산비,경남창넝비,함홍황초령비,이원마운령 비와 같은 곳에 기록된 내용에 의하면 하나같이 이 름만 있고 성 이 없다고 하는데 에서 알수 있다. 나) 삼국시대 이후부터 성(姓)이 정착되었다 세계에서 가장먼저성을가졌다고하는고대중국 은 하廈), 온賊), 주信])나라때부터 고들 제후(諸侯) 들은 이미 성을 가졌다고 하며 고후 위魏,), 전償:) 시대를 거쳐서는성의 일반화는물론족보(Jj矣譜)까 지도이미 체계화되었다고한다. 고와같은 나라들과 이웃하고 있던 우리 한민족도 이들과 접촉하면서 문물교류가 이루어졌을 것이며 필경에는 그들의 성倒삿간회를 수입하여 이것을 모 방하여 사용하계 된 것이다. ®고구려의 성 고구려는삼국중에서도 중국과가까운 거리에서 인접하고 있었으므로 한여江나라와 주로 문물의 교 류가 있었으며 그를통히여 성도가장 먼저 사용하 게된 것이다. 그당시의 성은왕실에서부터 시작하계 되었으며 처음에는 해信)씨 였으나 그후 제6대 태조왕때부터 나라이릅이 고구려라고 해서 성을고儒)씨로 하였 던것이다. 따라서 임금이 신히에게 내려주는 사성(賜姓)도 이때가 처음이며 매우 희소하기는 하나그 내용을알고보면 극閩), 대실伏室), 중실(仲室), 소실(小室), 위(位),우(羽)씨 등을비롯하여 왕비와왕모의 성씨 로는 예(禮), 송(松), 우(于), 주(周)씨 등과 같은 성들 이있었다. ®백제의성 백제는 지 정학적으로 한반도의 서님단에 위치를 I 64 潟H2멀오 하고있어서 중국과는직접적인관계는없었으나복 쪽대륙으로부터 흘러들어온 유목민과 이 민들로 인 하여 처음에는 부족국가를 이루고 있다가 4세기 무 렵 근고초왕{近古肖王)때부터 성을 갖기 시작했다고 한다. 백제 역시나 득성은 왕실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고성은우吸)씨로하였으나 시조온조(溫祚)가 부여 계통에서 나왔다고하여 부여씨但準令氏)로한 것이 며 이 것을 줄인말로 여씨(餘氏)라고도 했다. 이와같은왕가의 성 이외에도그당시 귀족들이 사 용했다고 하는 8대 성 이 있었는데 그 내용은」 사인1), 연(熙, 리(JJ씨), 해團), 전眞), 국(國), 목{木), 백(s) 씨등이 였다고한다. ®신라의성 신라는 삼국중에서도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성의 기원도가장뒤늦게 시작하여 7세기 중엽인 경 덕왕때부터 중국 당니라와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 어져서 그때 비로소모든제도와 성씨의 보급이 시 작되었다고한다. 이 나라도 역시 마찬가지로 왕기에서부터 득성을 한박(朴),석(昔), 깁曲)삼성 외에널리 알려진 민간 성씨로 이(李), 최(崔), 손어系), 정 僕~), 배懷), 설(薛) 씨 등과같은6성과해상의 거두이자 청해전 대사인 장보고의 성을딴 장씨를 합해서 7성 바지가 있다. 이들 성씨의 득성(得姓꾀정을 살펴보면 두가지 설이 있는데그중하나는왕이 내린사성(賜姓)이라 고하는 설과다른하나는 그당시 당니라와문물의 교류가 빈번하였던 관계로 신라의 상류층에 있던 사 람들중외교관이나혹은유학생 신분으로혹은상 업목적 등으로당니라에들어가서 그곳상류층들이 주로사용하고있던특수한성씨를눈여겨보아두었 다가귀국하여 그것을 본을따서 사용한성씨들이라 고 하는 설이 있는데 학계에서는 후지에 무계를 두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