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있는것같다. 이와같은 경로에서 우리나라 민간성씨로서는 역 사상 이 것이 효시(麻矢)라고 할수 있다. 2. 得姓의一般化 성의 일반화로 민간인이 성을가지계 된 것은신 라밀업부터 고려초기라고할 수 있다. 그 이전까지 는왕가와특수한신분의 소유자가아니면 성은거 의가없었다. 동서고금을 통히여 신왕조가 수립되거나 새로운 인물이 집권을하게 되면가장먼지신경을써야하 는 것은 민생안정에 초접을 둔 경제개혁과 민심수습 을 위한 특단의 위민화합僞民和合)정책이라고 할 수있다. 었으며 특히 고 중에서도후삼국 통일에 절대적인 전공을 세운 개국 공신들에게는 제일 먼저 사성을 내리고 그가 거주하고 있던 고을을 지정하여 식읍 (食邑)으로 정하여 특혜를 준 것이다. 고대표적인 인물로 개국1등공신인 신숭겸(申崇 謙운 본래는 전라도 곡부 출신으로 성도 없었으며 이름만 삽농산(三能山)이 라고 하였으나 평산신씨(平 山申氏)로 사성을 하사 받고 평산고을을 고의 식읍 지로 하였으며, 왕사였던 홍유(洪儒) 또한 처음 이름 은 홍술祖述)이 였으나 부계홍씨(笛溪洪氏)로, 배현 경 @玄慶)은 경주배씨鷹州裵氏)로, 복지겸 ( 卜 智謙) 온 면천복씨(河川 卜氏)로 각 사성과 식읍지를 하사 받은것이댜 고 당시의 왕권(玉t勸은 절대적 인 권위와 위상과 이와같은맥릭에서 고려 태조왕건은후삼국을통 카리스마로 왕명은 지업하여 거의 신격화된 존재였 일하고 신왕조를 수립한 후에 가장 먼저 착수한 것 이 사성센易姓)제도이며 고후 역대왕들은 귀화인個} 化人벌- 받아들이고 강력한 왕권의 확립수단으로 과 거제도를 시행하므로서 일반 민간인들도 대량으로 성을가지게되었다. 그러므로성이 일번화된과정을요약하자면 ®시성(賜姓), ®귀화성(歸化約, @토착성 〔土着姓 이 것을 토성(士均 또는 창성(創姓)이 라고도 한다〕과 같이 세가지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 성이 하나씩 정착되고부터 성온 대중화 내지 일반화 된 것이다. 이것을다음에서 하나씩 분설하기로 한다. 가)사성鳴姓) 신라와 백제가 망하고 고려왕씨 왕조가 탄생하자 전란공신(戰亂功臣)과 구관병현(舊官名賢)들을 위시 하여 각지방에서 귀부闇벤제해온호족(豪方菊과사족 (土陶은 물론 지 방수령(t也方首領造을-그의 품에 끌 어안기 위하여 왕이 직집 이들에계 성倒만을 내려주 기 때문에 왕이 내려준사성이라면 대단한특전(特 典)으로 여 기고 자부심과 아울러 가문에는 큰 영 예 (榮秦)로 여 겨 왔던 것이다. 고러한가운데 특이한사실을한가지 말하자면동 국여지승랍 목천현 성씨조(東國與地勝覽木)||慈姓 氏條)에 의하면 고려태조가 개국한 이래 특히 목천 지방사람들은잦은발란을 일으키고말을잘안듣 자 태조 왕건은 내심으로는 이것을 미워하면서도 이 들을 끌어 안기 위해서 그들에계 동물이름을 성씨로 하여 우, 마, 돈, 상, 장(牛 馬 腦 象璋)과같은소, 말, 돼지, 코끼리, 노루로 하여 성을사성한 사실이 있었는데 고 이후부터 이들은 황은에 감시하고 말을 잘 들었다고 하며 후일 이들 성씨는于, 馬, 頓, 尙, 張씨 등으로 바꾸었다고 하는 설이 있다. 나) 귀화성個化姓) 귀화성온 외래성을 말하며 외국인들이 자기 나라 대만법무사럽~ 65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