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문화체질을 제대로 활용했더라면 우리는 지금보다 훨씬 안정된 모습으로 경제발전을 이 룩했을런지도모른댜 유교문화가 국가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었던 것은 많은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유교의 공동체정신, 근면성, 높은 교육열, 실용주의, 자기절제, 가족주의, 국가에 대한 총상심 등을 들수있다. 이러한 여러 덕목들을 우리는 선비정신이라 고부르고있다. 유교의 선비정신은 집단주의(공동체 정신)와 가족주의를 강조하는 점에서는 개인주의를 강 조하는서양의 근대정신과다르다. 고러나 근면성, 높은 교육열, 실용주의, 자기 절제 의 도덕 성 등은 프로 데스탄트(Protestant) 윤리와다를바 없다. 유교의 선비정신은 개인의 비판정신과 창의 력 , 임기웅변의 적응력토 높여준다. 유교의 위 와 같은 덕목들은 근대산업사회를 건설하는데 긍정적인요소로작용했다. 다만, 과학, 기술개발 및 전문성에 있어서 서 양에 뒤졌지만 이를 보완했더라면 서구화의 길 을 걷지 않더라도 홀륭한 현대국가를 긴설할 수 있었을 것이댜 한국인의 높은 교육열을 보더라도유교문화 의 힘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인의 교육열은 학교에서만 이루어 전 것 이 아니 고 가정, 마을, 서원, 서당에서 때와 장 소를 가리지 않고 이루어 진 것이 우리 조상들 의 삶이었다. 우리의 유교문화 전통이 지난 세기에는 지식 인 사회에서 등한시 되고 잘못 이해되어온 것 은사실이다. 물론 서양의 과학기술을 습득하고 직업의 전문성을 배운 것은 사신이지만. 무분별한 외 래문화의 수용이 오늘의 사회혼란과 가치관의 혼란을가져온 원인이 되었음을시인하지 않을 수없다. 역사 발전은 자기 체질과 자기 풍토에 맞는 것 을 선택할 때 정상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명 심할 필요가있댜 우리는 선비의 전통문화를 계승하여야 할 것 이다. 그리 고 선진과학 기술을 더욱 받아들여 우리 의 전통문화와 접목시겨 새로운모습으로 발전 시켜야할것이댜 국가, 기업, 개인이 옛것과 새것을 조화시킨 다음에 우리와 남이 만날때, 21세기의 한국은 문화대국, 경제대국의 일류국가로 다시 태어날 수있을 것이댜 강 정 환 | 법무사(수원회) 대만법무사업외 69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