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법무사 5월호

전자정부에서의 정부운영방식의 변화 1. 업무처 리 및 의사소통방식의 변화 2. 정확한 정보의 파악과 제공으로 인한 투명성 제고 3. 중간관리층 감소 및 일선현장중심의 권한배분구조 4. 부처간의 기능 및 역할의 변화 이러한 정부내부의 능률학 고객지향적인 정 부와국민간의 관계의 변화와함께 정부간공공 부분-준공공부분, 정부-민간부분의 네트워크 를 구축할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린 네트워크들 은 정보의 공동활용을 통하여 정부와 기 업간의 거래비용이 감소되고, 불필요한 절차나 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앞으로의 정부가 기 업 활동을감시하고 규제하는 역할에서 지원자로서 바꿀것을의미한다. 이 러한 정부와 민간부분의 관계는 전자정부의 구축이 단순한 정부의 전산화가 아니라 정부의 역할변화까지를 고려한 미래정부라는 점에서의 의의를지닌다. 이러한한국전산원의 전자정부에 대한견해는 정부의 능률화와 고객지향적 대면서비스, 공공 부분―민간부분의 네트워킹으로 인한 국가 역할 의 변화를강조한것으로이해된다. 三.전자정부의 분석 1. 전자정부 개념을구성하는 기본차원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정부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개념 정의 들은 기본적으로 "누 구를 위한 정부인가”라는 차원과 ‘‘무엇을 위한 정부인가’’라는 차원과 같은 두개의 차원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고할수 있다. ·····································~ 電子政府비전과 目標i 〈표 2>전자정부 개념 구조의 기본차원 저P차원 무엇을 제1차원 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 위한 투명성 전자정부 제고 인가 투명성 제고 누구를 위한전자정부인가 국가 1 일반시민 2. 전자정부 개념의 유형 전술한 2개의 차원을 교차시키게 되면 〈표3〉 과 같이 전자정부의 개념을 여섯가지로 유형화 시켜정의해볼수있게된다. 〈표 3> 전자정부 개념의 6대 유형 저三懿円원 누구클 위한 전X정부인가 국7 f 일반시민 효율성 및 제유형: 제2유형: 생산성 효율적 제고 7|술관료적정부 대민서비스정부 무엇을 제4유형: 위한 투명성 제3유형: 일반시민에게 전X명부 제고 감人헝정부 투명한정부 인가 투명성 제5유형: 제6유형. 제고 전저점정부 민주적정부 四. 우리나라가 중시되어야할 전자정부의 요소 1. 정부내부의 효율성 극대화 정부내의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정부내부의 운 영방식은크게 변화할것으로보인다.고러나이 대만법무사펌띠 7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