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r.;·;.~;끊훑홉,.. 心)이 가변하여 도심으로 될 수 있고도심譜心)이 변 하여 인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하는 말이다. 다시 말한다면 선심(善心)이 악심德:心)으로 변하 고 악심이 또한 선심으로 변할 수가 있다고 하는 학 설이다. 다) 예(禮)에서는 사람을 대할 때는 항상 겸손하면 서 무엇이든지 양보하고 사양을 하는사양지심 辭讓之心)이라고 하는 착하고 고운 예절바른 마음씨가발생하계되며 라)지(智)에서는 사람이 사물(事物)에 대한 어떤 문제가 발생되 면 그것이 옳고 그름을 분별하고 그렇다면 여기에서 인심은무엇이고 도심은또 무 판단을 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이 발생하는 엇을말하는 것이며 고들은 어떠한작용을- 하고있는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 지가궁금하다. 인심에서 오욕어-忽虹과 칠정(七情)이라고 하는 것 인의예지와 같은마음가짐은 사립이 갖는 천리인 이 생겨나고도심에서는 인의예지(仁義禮智泣}같은 성(天理人性)에서 발현僚헌預)되는 당연한 도의지심 사단엔拘端)이라는것이발생한다고한다. 諺義之心)에서 연유한것이라면금수와같은하등동 여기 인심에서 나온다는오욕을 말할것 같으면 재 물들은 그들에게는 도의지심이라고 하는 것은 전혀 욕(財戀) 식욕{食戀) 성욕사'生慈) 명예욕(名청慈) 수욕 찾아볼수가 없으며 오직 기질지심(氣質之心)만 있기 燁慈)과같은 것을말한다면 칠정이라고 하는것은 때문에 반성과참회하는능력도, 판단력도없거니와 기쁘고성내며 슬프고 즐거우며 사랑하고악하며 하 주어진본성에서 온본능에만치우치게 되어 질서도 고자하는마음들을말하는것이다. 이것을희노애락 순서도 없고체면염치도 없는것이 그들의세계라고 애오욕(喜怒哀樂愛惡쑨)이 라고 한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심이라고 하는 것은시람이 갖는 천성순리(天性 順埋)에서 오는 서단四麟)이라고 하는 극히 자고마한 실마리에서 우러나오는 어질고 정의롭고 예를 알며 지혜로운마음씨인 안의예지(仁義禮智幽{ 같은 마음들 을밀하는 것이다. 이것을다시 분설하면 댜음과같다. 가) 인(仁)에서는 사립이 어 떤 공경에 처 해있을 때 고것을불쌍하고가없고측은한동정의 마음이 생겨나는 측은지심(開隱之心)이 라고 하는 마음 이발생하는것이며 나) 의(義)에서는 눈으로 불수 없는 상횡이 벌어지 면 그 장면이 차마 부끄럽고 창피하고 수치스 러운 마음이 생겨나는 수오지심溫遷認.心)이 라 고하는마음이 발생하며 그러나동물들도그들생존의 본능에 속하는오욕 의 일부인식욕과성욕을가지며 칠정을느낄수있다 고 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과 마냥 다를바가 없는 것 이다. 위와같이 사람이 갖는 마음의 본적지 인 인심과 도 심의 갖가지 마음들이 대우주외의 관계에 있어서 여 러 가지 마음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 사실을 알수있다. 3. 마음의 자유앵로 사립이나동물할것 없이모든행동은그가갖는 마음에서시발되는것이며 고마음에서 터잡은여러 가지 심소(心素)에 따라서 어떤 심경(心境)의 변화를 일으켜 갖가지 마음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착하고 선한 마음들이 나쁘고 악한마음으로, 곧고 올바론 마음은 부정한 사심(邪心)으로 변하며, 옳고 대만법무사업외 71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