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느 등기원인증서의 공증과등기의 공신 력 II ’ 目 次 | I. 시작하며 II. 각국의 입법례 1. 물권변동 이론과 등기 2. 프랑스 3. 스위스 4. 독일 5. 미국 6. 우리나라 I[. 부실등기의 현황 및유형 분석 1. 분석경위 • 방법 가.분석경위 나.전제조건 댜분석방법 2. 부실등기 의 유형 및 개수 (100개 중) 가. 제1유형(공증 및 공신력과 무관한유형) 나. 제2유형 (공산력 과는 관련있으나 공증 과는무관한유형) 댜 제3유형(공증과 공신력 모두와 관련있 는유형) 3.통계적 추정 가. 공증과 관련된 부실등기 나. 공신력과 관련된 부실등기 다.위조등기 보고건수 N. 등기원인증서의 공증 1. 동기원인증서의 공증에 대한 입법시도 및 학설 가. 1980년대 초 민법 개정 시도 나.필요성 〈지난호에 이어〉 다. 공증의 대상 라. 공증의 관할哈당기관) 마. 공증의 방식 2.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의 필요성 검토 가. 이론직 측면 1)물권행위론과의 관계 2)부실등기 발생 유형 나. 실효성 검토 1) 공증절차 2) 등기원인증서 공증의 실효성 분석 3)사회적 비용 댜 대안 1) 법무사의 위 임 인 확인절차 강화 2) 원인증서 의 보관의무 3. 결 V.등기의 공신력 1.문제의 제기 2. 부실등기와공신력 인정여부에 관한 학설 3. 공신력인정의 필요성 가. 등기의 본질 - 대장과의 구별 나. 산업 정보화 사회로의 전이와 저당권 의유동화 댜 국민의 법감정 라. 사전방지장치 4. 전정한 권리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 가. 전정한 권리자 보호 문제 나. 독일법상 이의동기 도입 댜 보상기금의적립 5. 공신력의 구체적 내용 6. 결 IV. 등기 원 인 증서 의 공증 •••• 1. 등기원인증서의 공층에 대한 입법시 도및학설 가. 1980년대 초 민법 개정 시도 등기 원인증서 의 공증제도의 도입을 위한 논 의는 한국민사법학회의 1978. 5. 30. ‘‘부동산등 기법 개정을 위한 세미냐', “1981. 8. 31. 민사법 개정을 위한 문제점에 관한 심포지왕’,” 같은 I 8 法務士 1 일모 霞 B中하 li 心吉 心 宁 { k b \心[ 宇 li心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