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6 法務士3 월호 隨│想 사환지우(四患之憂) 1. 머리말 사람이살아가는데있어서는무엇보다도직업이 있어야한다. 직업이라는것은생활수단인동시에 생명력을이어가는젖줄이라고도할수있다. 고대 중국 당나라 사람 백장선사(百丈禪師)라 는 사람이 말하기를 일일부작(一日不作) 일일불 식(一日不食)이라고했다. 이말을새겨보면하루 라도일을하지않는사람은하루동안먹지를말 라고하는말이다. 따라서직업을갖는다고하는 것은비록경제적면에서뿐만아니라사회적으로 는 국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분담하게 되고 개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일깨워 스스로의 위상(位相) 제고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수가있게된다. 아울러 정신적 측면에서는 한 가정을 이루어 생활의 안정을 기하고 가족간의 애정과 사랑을 누려서 개인의 발전과 행복 추구로 국가 사회에 한없는봉사와충성을다할수 있게될것이다. 직업의 종류를 말하자면 이 세상에서 크고 작 은 여러직업들이무수히많으나이것을크게두 가지로나누어생각할수가있다. 하나는공직(公 職)이라고 하는 공인으로서의 직업이요 다른 하 나는 개개인이 자영하는 사직업(私職業)을 말한 다. 여기에서는 주로공인으로서의 직업에 관하 여논하기로한다. 공인을 선발함에는 옛날 유도정치(儒道政治) 시대에는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고하는 신분이 전제되고 연후에 각종 고과(考課)를 통하여 비로 서 등용이 되었으나 지금과 같은 민주시대의 직 업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 시험을 통하여 사전에 검증이 되고 선거직 공무원은 국민과 주 민의심판으로가려지게된다. 그러나 옛말과도 같이 옥(玉)에도 티가 있다고 했는데임명이되거나선발후에막상그직에나 아가고 보면 스스로의 자질과 함량미달(含量未 達)로인하여그 직무수행을감당할수 없는경우 가간혹있다. 특히직업공무원과같은엄격한자 격요건이 필요하지 않고최고통치자나기타임 명권자의 일방적인 임명으로 이루어지는 정무직 (政務職) 공무원과같은경우라면더더욱그러하 다고할수있다. 이와관련하여공직자가국사를처리함에있어 서 옛 선현 신암공선생(愼庵公先生)은그의 문집 에서 말하기를 사환지우(四患之憂)라고 하여 직 무수행상 크나큰 네 가지 고충이 있음을 일깨운 말이있다. 아마도 이 말은다음본론에서 보는 ’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