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법무사 5월호

사라져가는 농촌의옛모습들 1. 牛市場 (쇠전) 옛 한국의 농경사회에서는 소가 농경사회 발전 에 큰 역한윤 하였다. 첫째로 소는 오눌날 사용되 는 농기구의 대행역할을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물품의 운송역할도 하였다. 도 힘이 센 소는 각 지방응 대표해서 소싸움을 하는 투우경기로 농촌 볼거리의 큰 행사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소 가 축이서는 인류에게 식육읍 제공하였고, .::1 피 혁은 인류의 문회생활 영위에도 큰 몫을 하였다. 그러므로 소는 한국 농촌사회에서 큰 재산목록 이 되었고 따라서 각 지방마다 소들 매매하는 쇠 진이 형성되어서, 우시장은 지방정제를 활성화 시키는데 한 몫을 하였다. 성남 모란시장, 전북 익산시장과 디불이 힌국 3대 우시장으로 꼽혔던 동해 북평시장은 이조 정 조때 개장되어 230여 년이 지난 지난 2008, 1. 27에 쑹가지 7마리물 매매하고 폐장되어 척·평우 시장은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뭔았다. 2차대진 종식으로 한국정부가 수립된 이후, 한 국 농촌에서는 자녀들의 대학진학옵 위하여 등록 금을 마련합에 있어서는, 재산목록인 소콜 소시 장에서 매각하여 자녀의 대학등록금에 충당하였 기 때문에 그 당시 싱아답이라고 불리우던 대학 호칭이 “우곱담으로 바꾸어 부르기도 하였다. 한국의 교육문제에 있이서는 40~50년 전에는 공교육비인 대학등육금의 마련이 분제시 되있지 먄 오늘날에 있이서는 사교육비가 큰 문제로 대 두된 것이다. 그 사교육비도 예전에는 대학입학 준비문 위한 고교시에만 지출되는 한정된 문재였 으나 오늘날엔 조기교육을 위하여 유치원때부터 학원비가 지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 조기 교육융 위하여 엄마와 초교생 아문이 해외로 이 주하여 그아바와별거하거1 되는세칭 “가러기아 빠가정”이 생겨서 교육이 가정파탄의 큰 원인이 되고 있음은 우려할 임이 아닐 수 없다. 좋은 교육재도가 시행된 때 국가의 건진한 발 진이 이루어지브로 우리나리는 새 정부가 듭어선 때 마다 교육제도의 새 방안웅 수립하고 시행하 였지반, 그 결과는 십각한 부작용'산 발생하여 공 교육은 쇠하여지고 사교육만 흥왕하였다. 옛날에는 교육도시라 하연 조용하고 푸근한 곳 울 연상하지만, 오늘난에는 일류고교가 많이 모 여서 좋은 학군이라 일컫는 곳, 이움 있는 시선학 원이 많이 집권되어 학원에 다니가 쉬운 곳, 그로 인하여 사선학원옵 운영히는 학원재벌이 많이 모 이는 곳, 학원 인근의 아파트 값이 바등하여 아파 트 투기꾼이 많이 모이는 곳이 좋은 교육도시로 지명된다고한다. 오놉남 한국교육의 당면과제는 실추된 공교육 의 권위륜 되찾는 데 있는 것 같다. 이러함으로서 Ci1으던잎E외 69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