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법무사 9월호

62 法務士9 월호 이 크게 벌어지게 된다고 하는 고사다. 득인차인 (得忍且忍)이요 득계차계(得戒且戒)하라 불인불 계(不忍不戒)면 소사성대(小事成大)라고 하는 말 이 이것이다. 참는 것이 약이라고 했으니 만약에 악한 사람이 착한 사람을 꾸짖게 되면 선한 사람 은 이에 대꾸하지 말 것이며 대꾸를 하지 않으면 마음이 맑고 또한 한가하지만 꾸짖는 사람은 입 이 뜨겁게 끓어올라 마치 하늘을 향해서 침을 뱉 으면 도로 자기 몸에 떨어지는 것과 같은 신세가 되는것이다. 그러나 참고 견디는 것도 한계가 있는 법이요, 그것이 도가 차서 지나치게 되면 드디어 일이 벌어 지게 된다. 이럴 때 참는다는 것은 인내심이 극히 강하고 수신으로 인한 인품의 구유(具有)자가 아니 면 소화해 내기가 퍽 힘들 일이다. 허나 후환(後患) 을 위해 오로지 참고 견디는 것만이 상책이다.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감에 남과 시비하고 싸 우는 것은 작은 이해(利害)관계로 시작하며 그 이 해관계의 밑바탕에는 주색재기(酒色財氣)와 같은 네가지 즉 술과 여자와 재물과 기질로 인한 인생 그물 속에 걸려들어 여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그물 속에서 용감하게 뛰쳐 나올 수만 있다면 신선불사방(神仙不死方)이라고 하여 비로소 인간으로서의 재생의 길을 걸어 갈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남들과는 시비를 할 건더 기가 없게 되어 싸우거나 분통이 터질 일이 없을 것이다. 여기에서 옛 성인의 말을 참고하면 비록 큰 집 이 천간이 되어도 밤에 누울 곳은 겨우 여덟 자뿐 이요, 좋은 농토가 만 경이 있다고 할지라도 하루 에 먹는 것은 겨우 두 되뿐이라고 했다[대하천간 야와팔척(大廈千間夜臥八尺) 양전만경 일식이승 (良田萬頃日食二升)]. 이와 같이 사람이 잘산들 얼마나 잘살 것이며 먹 는 것인들 얼마나 먹을 수 있겠는가? 남과 다투지 않고 마음 확 비우고 베풀면서 살게 되면 차라리 스트레스안받고마음편히사는것이참삶일것 이요, 이것이 바로 인생의 지고한 부가가치가 아닐 런지? 혹자가 말하는 안빈낙도(安貧樂道)라고 하 는 것이 바로 이런 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인즉. 2. 참고견디어내자면 사람과 다투거나 시비가 격하게 붙게 되면 자 기 스스로도 성질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이 평범 한 사람의 경우이다. 이럴 때는 고도의 인내심의 발휘가 필요한 것인즉 그 인내심은 질 높은 자기 수양으로 인한 도덕성이 바탕이 되어 이성(理性) 을 찾아야 옳고 바른 판단력이 생긴다. 해서 사람은 모름지기 배우고 알고 자기 나름 의 철학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사람이 못 배우고 가난하면 지혜가 짧아지고 판단력이 잘 서지 않 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많이 배우고 부지런하 여 재물을 모으게 되면 복이 있게 되어 마음은 한 결 같이 넉넉하고 밝아지기 마련이다. 이것을 인 빈지단(人貧智短)이요 복지심령(福至心靈)이라고 한다. 해서 남과 시비가 온종일 있을지라도 그것을 듣지 않으면 저절로 없어지는 법이다. 이 역시 인 내심과 이성적판단력(理性的判斷力)이 필요하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이라는 말과 통하는 말이다. 손뼉은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것이지 한쪽 손만 으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 이치다. 그렇기에 남과 부딪쳐서 시비거리가 생긴다고 하는 생각이 들면 예방차원에서 먼저 상대방의 외모와 인품을 보고 그의 성격과 인성(人性)부터 파악하여 사전 대비 를해야한다. 隨│想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