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법무사 7월호

10 法務士2010년 7 월호 등을 통해 바람직한 선거규칙을 만들도록 하겠다. - 법조인접직역통합논의가이번선거의최대이슈였다. 정부의 통합논의 속도에 따라 법무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수도 있다. 통합논의가 시대의 흐름이라면 거슬러 올라갈 수는 없는 일이다. 다만 어떻게 하면 법무사에게 가장 유리 할 수 있는 대안을 관철해 내느냐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시험출신 법무사들이 대거 참여하는‘법조직역통합기획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기획단에서 통합논의에 대한 대책을 만들 어낼것이다. - 시험출신법무사들의회무참여는어떤방식으로이뤄지나. 선거 직후 가장 먼저 준비하고 있는 업무가 법무사업계의 문제점 분석과 해결책 논의를 위한 워크숍이다. 이 워크숍은 시험출신들이 주도하기로 했다. 이런 일에는 시험출신들이 가진 분석 력과 해결력, 변화에 대한 적응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워크숍에서 나오는 내용들을 회무 의 정책과제로 삼을 계획이다. 또 각종 위원회에 시험출신 법무사들의 참여를 늘릴 예정이다. 윤리위원회나 회관관리위원회 등 특수한 성격을 가진 몇몇 위원회를 제외하고 나머지 위원회 는 젊은 세대들에게 맡긴다는 표현이 적당할 만큼 시험출신들을 많이 참여시킬 예정이다. 법조 직역통합기획단과 업무영역개발연구소 등이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 이사회논의과정에개혁을예고했다. ‘화합’은‘합리적 토론’으로 완성된다. 이사회가 회장의 회무에 거수역할을 하는 시대는 지 났다. 상정된 안건에 대해 반대토론과 찬성토론을 정례화 할 예정이다. 이렇게 하면 회무안건 에 대해 시험출신과 재조출신간, 기성세대와 젊은세대간의 의견차이가 그대로 드러날 것이다. - 법무사협회와의관계는. 업계를 대표하는 협회의 권위를 인정해야 한다. 협회에 대한 지방회의 역할은 대결이 아니라 참여하고 보좌하는 역할이어야 한다. 서울중앙회는 협회에 법무사업계의 문제점과 해결에 대 한 화두를 던지는 역할에 만족할 예정이다. 서울중앙회가 보유한 인적자원을 활용하면 가능한 일이다. 각종 이슈에 대해 의견을 협회에 개진해 논의를 촉발시키는 것으로 지방회의 역할은 충분하다. 크민隨芸팝士協會 ’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