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법무사 3월호
29 권의 피담보채무액이 증가하더라도 그와 같이 증 가한 피담보채무액이 선순위 근저당권의 채권최고 액 한도 안에 있다면 경매를 신청한 후순위 근저당 권자가 예측하지 못한 손해를 입게 된다고 볼 수 없 는 반면, 선순위 근저당권자는 자신이 경매신청을 하지 아니하였으면서도 경락으로 인하여 근저당권 을 상실하게 되는 처지에 있으므로 거래의 안전을 해치지 아니하는 한도 안에서 선순위 근저당권자가 파악한 담보가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는 관점에서 보면, 후순위 근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한 경우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 은 그 근저당권이 소멸하는 시기, 즉 경락인이 경락 대금을 완납한 때에 확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수용과 관련한 판결 29) 에서 “저당권이란 채무 자 또는 제3자가 점유를 이전하지 않고 채무의 담보 로 제공한 부동산으로부터 채권자가 우선변제를 받 을 수 있는 권리로서, 저당권자가 저당 목적물의 환 가대금으로부터 다른 채권자에 우선하여 변제를 받 을 수 있는 우선변제권이 저당권의 본체적 효력이라 고 볼 것인데, 이러한 우선변제권은 저당권자가 스 스로 저당권을 실행하는 방법으로만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 의하여 경매가 실행되거나 공매 또 는 수용으로 인하여 환가가 된 경우에도 저당권자는 이를 저지할 수 없는 대신 그 우선순위에 따라 환가 대금 또는 수용보상금으로부터 우선 변제를 받는 방 법으로 행사할 수 있는 것이다.” 30) 는 판단이다. 따라서 선순위 공동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 동산에 대하여 후순위로 근저당권을 취득하려는 자 는 선순위 공동근저당권 목적물의 전체 환가대금에 서 공동근저당권의 채권최고액만큼의 담보가치를 선순위 공동근저당권자의 몫으로 파악하고 그 나머 지 담보가치만을 고려하여 근저당권을 취득하는 것 이 보통이라고 할 것이며, 이는 동일한 부동산에 대 하여 순위가 다른 다수의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산의 효율적 이용을 꾀하는 민법상 저 당권제도의 근본취지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할 것이다.’ 31) 2. 공동근저당권의배당의법리 (1) 개관 공동근저당권의 배당에서, 동시에 배당할 경우에 는 각 근저당물에 대한 매각대금의 비율에 의한 공 동배당을 하여야 하고, 그 합산액은 최고액 범위 내 에서 담보될 것이다. 여기서 ‘최고액’이란 ‘근저당권 에 기한 경매권(競賣權) 및 우선변제권(優先辨濟權) 의 한계(限界)’를 의미한다. 32) 공동근저당권의 본래 적 의미가 피담보채권의 충분한 확보를 위하여 여 러 개의 부동산에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에 이들 근저당권을 ‘공동근저당권(共同根抵當權)’이라고 한 다면, 그 배당에 있어서도 채권최고액을 범위로 각 근저당물에 대한 매각대금의 비율에 의한 공동배당 을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민법 제368조는 공동저당권의 배당과 차순 위자의 대위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같은 조 제1 항은 공동저당권의 목적물의 전체 환가대금을 동시 에 배당하는 동시배당의 경우에 공동저당권자의 실 행선택권과 우선변제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서 각 부동산의 책임을 안분시킴으로써 각 부동산 상의 소유자와 차순위 저당권자 기타의 채권자의 이해관계를 조절하고, 같은 조 제2항에 대위제도를 규정하여 공동저당권의 목적 부동산 중 일부의 경 매대가를 먼저 배당하는 이시배당의 경우에도 최종 실무포커스 ▶ 민사집행 실무 29) 대법원 2006.10.27. 선고 2005다14502 판결. 30) 김동옥, 『근저당권실행 경매와 배당』, p. 158. 31) 이우재, 『배당의 제문제』, p. 977. 32) 이은영, 『물권법』 제4판, p. 839.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