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법무사 3월호
공헌을 위해 하는 것이니 팔 만한 것이 있으면 내놓 으세요.”라고 말했다. 그러나 상담자는 팔고 싶은 마음이 없어서 빨리 돌 아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으나 현관을 차지한 채 앉 아있는 남자들은 전혀 돌아갈 기색이라고는 없었다. 그렇게 한동안 “팔아라”, “팔 만한 게 없다”는 실랑이 가 계속되었고, 시간이 갈수록 점점 난폭해지는 말투 에 공포감을 느낀 상담자는 무엇인가를 팔지 않으면 안될 것 같았다. 어쩔 수 없이 그녀는 귀금속과 액세서리가 들어있 는 상자를 보여주었고, 상자 안을 살펴보던 업자는 구매 당시 30만 엔이었던 금목걸이 두 개를 꺼내 “이 것을 사면 좋겠네요. 가격은 두 개에 1만 엔입니다” 라고 일방적으로 말하더니 날치기하듯 목걸이를 집 어넣고서 부리나케 집을 빠져나갔다. 부지불식간에 일어나 영문도 모른 채 귀금속 매매로 1만 원을 받게 된 고객은, 어떻게 하면 계약을 해제하고 금목걸이를 다시 찾을 수 있는지를 상담해 왔다. 2. '방문매입'의문제점 위와 같은 상황이라 하더라도 일반 소비자가 자신 이 소유하는 귀금속이나 액세서리를 팔아 현금으로 바꾸고 싶다는 동기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그 가격 이 적정하다면 아무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 행 ‘방문매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① 권유의 기습성 : 돌연 업자가 집을 방문해 자신의 의도대로 계약을 체결해 버린다. ② 협박행위에 의한 억압 : 업자는 무리하고 집요하게 계약을 강요해서 압박을 느낀 소비자가 거절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사에 반해 계약을 체결한다. ③ 매입 대상 상품 및 가격의 일방적 결정 : 자신의 귀 금속을 판매하는 일반소비자는 업자에 비해 지식 과 교섭력이 없기 때문에 업자가 매입 대상 상품 과 가격을 일방적으로 정하게 된다. ④ 소비자에게 판단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 업자가 자신의 의도대로 계약을 체결해 버리기 때문에 소 비자가 업자와 계약을 체결할 것인지, 그 가격이 시세와 비교해 타당한지를 검토할 기회가 주어지 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현행법의 운용에서 「특정상거래법」은 방문판매 등의 판매에 관한 구입자의 보호를 목적으 로 하고 있지, 매입업자로부터 판매자를 보호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방문판매 거래 에 있어서의 서면교부 의무가 매입업자에게는 적용 되지 않는다. 또, 상대가 제시를 요청했을 때에만 「고물영업법」 으로 정해지는 허가증의 제시 의무가 있기 때문에 (「고물영업법」 제11조 제3항), 업자가 그 소재를 분 명히 밝히지 않은 현실에서는 판매 이후 업자와 연락 이 닿지 않는 등 소재파악이 되지 않은 일이 발생하 곤 한다. 설사 업자와 연락이 되었다 해도 “매입한 귀 금속을 이미 녹여서 가공했다”, “벌써 전매해 버려 수 중에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기 때문에 계약의 취소나 해지도 어려운 상황이 된다. 3. '방문매입'에대한각기관의움직임 이러한 피해가 속출하자 최근에는 ‘방문매입’에 대 해 형벌 법령이나 조례에 의한 대응이 시도되고 있 다. 나가노현과 와카야마현에서는 귀금속을 매입하 려고 방문한 주택에서 주인이 한 눈을 파는 사이 귀 금속을 훔친 업자가 절도죄로 검거된 사례가 있는가 하면, 쿄토부에서는 집요하게 계약을 강요한 업자가 경범죄 위반으로 검거된 사례가 있다. 경시청에서는 관내 경찰서 앞으로 통지를 보내 새롭게 방문매입업 47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