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6월호

79 『 법무사 』 2015 년 6 월호 것을 의식하고 영원한 명성을 얻기 위해 죽음으로 돌진 하지만, 「오디세이아」에서는 일찍 죽는 것이 명성을 지 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든 굴욕을 견디고 살아남아 귀환하는것이진정한명성을얻는길이라고그려낸다. 생존과 귀환, 거기에 필요한 덕목인 인내와 절제, 그 리고 지혜를 강조한다. 운명의 무게를 견디기보다는 어 떻게든 주어진 조건을 헤치고 살아남는 데 그 핵심이 있고, 어떤 면에서는 매우 현실적이다. 이는 오디세우스가 저승 체험 중에 만난 전쟁 영웅 아킬레우스에게 “죽어서도 왕 노릇을 하니 얼마나 좋 으냐?”고 묻는 장면에서 잘 나타나 있다. 아킬레우스 는 “죽어서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것보다는 살아서 아 무 재산도 없는 사람 밑에서 종살이를 하는 게 더 낫 다”고 말한다. 2) ‘영웅’ 아킬레우스와 ‘反영웅’ 오디세우스 「일리아드」는 영웅을 기리기는 하되 영웅이 얻고자 하는 영광이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도 아울러 보여준 다. 「오디세이아」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영웅이라 는 전형에 부여된 윤리적 효력 자체를 문제 삼는다. 이 작품에서 주역으로 등장하는 오디세우스는 차라리 반 (反)영웅이라 해야 마땅한 인물이다. 그는 아킬레우스와는 비교할 수 없는 한미(寒微)한 집안의 출신으로 대규모 정규전의 사령관으로는 한계 가 있다. 그 대신 지모와 지략에 능해 야간 침투, 첩보 등의장기를이용해승리에결정적인기여를하곤한다. 아킬레우스가 적군의 수장 헥토르와 정식으로 맞대 결하나 트로이 성의 함락이라는 최종 목적을 달성한 것은, 결국 은밀한 ‘트로이 목마작전’을 생각해 내고 주 도한 오디세우스의 공(功)이라 할 수 있다. 오랜 기간 이처럼 끈질기게 집으로 돌아가려 하는 오디세우스에게서 우리는 보통 인간들의 전형적인 ‘귀 환 본능’을 확인한다. 인간은 먼 옛날부터 기본적으로 는 먹을 것을 구하러 집을 떠났다가 그것을 구해 집으 로 돌아오는 일을 반복하며 살아왔다. 전쟁터에서 명 예롭게 전사한 아킬레우스는 그에 비하면 덜 성숙된 젊은이일 뿐이다. 3) 무력 대신 지혜에 의존한 그리스문명 ‘호모 사피엔스’로서 인간은 거친 자연의 세계에서 근 육의 힘 대신 머리를 써서 남을 수 있었다. 아마도 「오 디세이아」가 호모 사피엔스 전체의 변치 않는 특징으 로, 서양인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고전(古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던 이유일 것이다. 문명이 새롭게 시작되는 시점에서 그리스인들도 지 난날의 영웅들처럼 낯선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는 것 을 명예롭게 여기지 않을 만큼 성숙해졌다. 오디세우스 의 일생이 문명의 스케일로 재현(再現)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문명을 계승(繼承)한 후대의 서양인들은 세계 의 대양을 누비고, 오늘날은 우주의 저 먼 곳까지 여정 을 늘려갈 생각을 하고 있다. 문제는 현대인들은 더 이상 오디세우스처럼 조심스럽 지 않다는 데 있다. 오디세우스가 고난을 통해 지혜로워 졌듯이오늘을사는현대인들도그런성숙이필요하다. 더불어 이 작품은 ‘전후(戰後) 문학’이다. 이제 불멸 의 명성을 앞세웠던 영웅들은 트로이 전쟁에서 사라져 버렸다. 새 시대의 사람들은 참을성과 지모로써 살아 남아 무너진 집과 고향을 회복하고, 동시에 진실로 참 된 인간이 되기 위해 ‘고통을 견뎌야 하는 자신의 운명’ 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도 헤아 릴 수 없는 많은 노고’를 향해 전진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호메로스 인문학의 요체다. 당신의 운명 을 사랑하라. 그리고 다시 앞으로 전진하라! ■ 강대진의강의(플라톤아카데미서양고전프로그램) ■ 『인문학명강서양고전』, 21세기북스, 강대진편 p159~177. ■ 이태수(인제대석좌교수) 강의자료(조선일보, 중앙일보) ■ 『철학콘서트 3권』, 황광우지음, 웅진지식하우스 p15~40. ■ 『오딧세이』, 은문사호메로스, 이상옥옮김 참고문헌 인문학의창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