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7월호

70 인문학의 창 1. 김시습과 그의 저서들 김시습[金時習, 1435(세종17)~1493 (성종24)]은 우리에게 는 『금오신화』의 저자 로 유명한 인물이다. 세조시대 생육신(生六 臣) 중 한 명이었고, 당대 최고의 사상가이자 문인이었 다. 자는 열경(悅卿), 호는 대표적으로 매월당(梅月堂). 생후 8개월에 글의 뜻을 알았고, 3세에 능히 글을 지 을 정도였으며, 5세 때 세종의 총애를 받아 후일 중용 하리란 약속과 함께 비단을 하사받기도 했을 정도로 천재성이 뛰어났다고 한다. 그는 당시 이름난 유학자였 던 이계전(李季甸), 김반(金泮), 윤상(尹祥)에게서 수학 했고, 이름 ‘시습(時習)’을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 중 “때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라는 구절에서 따 왔을 만큼 정통 유학을 공부한 사람이다. 그러나 21세 때 완전한 생의 전환기를 맞게 되는데, 삼 각산(三角山) 중흥사에서 과거를 준비하며 수학하던 중,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대권을 잡았다는 소식을 듣고서 그 길로 삭발을 하고 중이 되어 방랑의 길을 떠 나버린 것이다. 당시 그는 관서, 관동, 삼남지방을 돌아 다니면서 백성들의 삶을 직접 체험했는데, 그때의 시편 들이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에 남아 있다. 31세 되던 세조 11년 봄, 그는 경주 남산(南山) 금오 산(金鰲山)에서 성리학(性理學)과 불교를 연구하는 한 편,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저술한다. 그리고 37세 때는 환속해 서울 성동(城東)에서 농사를 지으며 현실 삶에 적응하는 듯 했으나, 이내 현실 모순 에 대한 실망으로 은둔과 방랑의 생활을 계속한다. 그 리고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에서 59세를 일기로 일생을 마감했다. 김시습은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어느 곳에도 안주하 지 못한 채 기구한 일생을 보냈다. 그의 사상과 문학은 이러한 고민에서 비롯한 것이다. 전국을 주유하며 사 상적 시야를 넓혔던 그는 당시의 정치사상적 혼란을, 유·불·도 삼교(三敎)를 원융적(圓融的) 입장에서 일치 시키는 것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불교적 미신은 배척했지만, 불교의 종지(宗旨)는 자 비로서 만물을 이롭게 하고 마음을 밝혀 탐욕을 없애 는 것으로 파악해 받아들였고, 비합리적인 도교의 신 선술(神仙術)은 부정했지만 기(氣)를 다스림으로써 천 명(天命)을 따르게 하는 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즉, 그는 음양(陰陽)의 운동성을 중시하는 주기론적 (主氣論的) 성리학의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적 으로 흡수해 자신의 철학을 완성했으며, 궁극적인 실 천을 중시하였다. 2. 『매월당집(梅月堂集)』, 유학자이자 승려의 시문집 김시습의 『매월당집』은 전 23권 6책의 시문집이다. 이 상 진 법무사(서울중앙회)·본지편집위원·법학박사 꿈꾸다 죽은 천재, 김시습의 『매월당집』· 『금오신화』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