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법무사 3월호

82 │문화의 힘 │ 살며 생각하며 공자 찾아 삼만리, 태산·곡부 탐방기 오성재 법무사(대구경북회) 하늘 아래 뫼, 정한천리(情恨千里) 태산(泰山) 지난해 문학연수 과정으로 수필동우회를 따라 3박 4 일 동안 중국 산동성(山東省) 칭다오 지역의 태산과 곡부 를 탐방했다. 이미 이곳을 다녀간 사람들이 수없이 많지 만, 모처럼 길을 나서는 방랑인으로서 그 느낌이 각별했 다. 청나라 건륭제의 70회 생신 사절단에 배석자로 참석 했던 실학의 대부 박지원이 새로운 문물을 탐방하던 모 습을 떠올리면서 이순의 중턱을 넘는 나이에 꿈속에 그 리던 태산을 오르게 된 것이다. 태산은 조선 문인 양사언의 태산가(泰山歌) 중 “높다 하 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에 등장하는 그 산이다. 중국 오악 중 동악으로 황제가 하늘과 땅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신 성한 산이다. 높이는 우리나라 남덕유산의 향적봉보다 조 금 낮은데, 9부 능선 남천문까지는 케이블카로, 이후 천로 를 따라 산정까지는 1,300여 개의 돌계단으로 연결된다. 고대 제왕이 봉선(封禪) 의식을 행한 태산에는 태산의 여신 ‘벽하원군’을 모신 사당이자 도교의 정찰 벽하사(碧 霞詞)가 있는데, 공자 묘를 조금 지나면 그 웅장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후 남천문을 지나 태산의 정상인 천가 옥황 정까지는 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해발 1,545m는 높이로 비하면 우리나라 백두산(2,750m)보다도 낮다. 정상에 오르니 겨울 등산으로 케이블카를 이용해 향 적봉 산정에 올라 눈꽃을 바라보던 장관이 오버랩 된다. 하늘은 맑고 햇살이 강렬하다. 산등성이에 피어오르는 운무는 동양화의 진수를 보는 듯 하다. 유교, 도교, 기타의 신앙이 깃든 성지로서 인간의 바 람을 염원하는 바위산의 위용이 북한산 인수봉의 음기 강 한 산세와 대비된다. 우리 일행은 주마간산 눈도장으로 현 장 명소를 확인하면서 다음 일정을 위한 걸음을 재촉했다. 공자의 성전, 덕행만리(德行萬里) 곡부(曲阜) 유학의 시조 공자의 곡부(공묘, 공부, 공림) 탐방은 연 수 일정의 하이라이트다. 인(仁)과 예(禮)를 근본으로 하 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에 이르는 유학의 성지를 경건한 자세로 걸음을 옮긴다. 우선 공묘(孔廟)는 공자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2000년 넘게 제사가 모셔졌다고 한다. 지성묘(至聖廟)를 지나 홍도문을 들어서자 역대 중국 의 크고 작은 공덕비가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몇 개의 문을 거쳐야 대성전의 대성문(大成門)에 이른다. 예전에도 승단의 수련은 수많은 학습의 노력이 수반되 었는데, 성현을 배알하기 위한 입실의 경지까지는 오죽 했을까 생각된다. 대성전에 들어서자 분위기가 엄숙하고 건물 안 중앙에 공자상(象)이 조각돼 있다. 공부(孔府)는 공자의 후손이 살았던 집으로 곡부지역 을 다스렸다고 한다. 정원에는 생장연도를 알 수 없을 만 큼 오래되고 우람하면서도 기이하게 생긴 측백수림과 화 려한 건물이 방문객을 압도한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