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6월호

세상은 나를 편하게 내버려두지 않는다. 다른 사람은 내 마 음과 같지 않을 때가 많고, 나 자신도 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가 많다. 그러니 불편해지고 화가 난다. 세상에서, 아니 내 주변에서 나를 화나게 하고 분노하게 만드는 일이 얼마나 많 은가. 더구나 부조리하고 정의롭지 못한 현실이 내 눈앞에 있 다면 어찌 분노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래서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이렇게 말했다. “분노하는 데 모자람은 비난받는다. 당연히 분노해야 할 일들에 분노하지 않는 사 람들은 바보 취급을 당하기 때문이다. 그 점은 적당한 방법으로, 적당할 때에, 당연히 분노해야 할 사람들에게 분노하지 않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사람은 감수성 이 없어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며, 분노하지 않는 까닭에 자신을 지킬 능 력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자기가 모욕당해도 참고 견디고, 친구들이 모욕당해도 수수 방관하는 것은 노예다운 태도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노해야만 할 때 분노하지 않는 사람들은 바보로 생각된다고 했다. 그는 도덕적 차원에서 분노를 정당화한 철학자였다. 분노할 줄 아는 인간이 되 라는 목소리는 오늘에도 이어진다. 독일 철학자 악셀 호네트는 사회적이고 일상적인 무시와 모욕이 야기하는 도덕적 분노가 사회적 저항의 동기라며 분노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다. 분노는 단지 무시나 모욕에 대한 심리적 반작용이 아니라 사회적 투쟁을 추진하는 심리적 동기가 된다는 것이 호네트의 설명이다. 결국 사회를 개선하고 변화시키려는 운동의 출발은 분노로부터 시작된다는 얘기 다. 우리 국민이 지난 정부 아래에서 나라의 기본이 무너진 데 분노하여 촛불을 들고 광장에 모였고, 그 결과로 나라가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 작금의 상황도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분노는 더 나은 변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하지만 인간에게 분노는 양날의 칼이다. 분노는 적절하게 내 것으로 하면 약이 되지만,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면 독이 된다. 아예 분노를 악으로 규정하고 제거할 것을 주장한 사람 은 로마시대 스토아 철학자 세네카였다. 더 나은 변화를 위한 출발점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분노 79 법무사 2018년 6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