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10월호

우리말에스며든서울중심주의, 지역차별적표현은매우심각하다. 지난 6월지방선거당시자유한국당대변인이 ‘이부망천(서울목동에서잘살다가이혼하면부천으 로가고망하면인천으로간다)’이라는표현을썼다가사회적비난을받기도했다. 사진은 2018.6.21. ‘이부망천’ 발언을한의원을상대로한손해배상청구소송인단모 집캠페인을하고있는모습. <사진 = 연합뉴스> 인도네시아 정부나 찌아찌아족이 거주하는 바우바우시 와어떠한협의도없었다고알려졌다. 거기에더해한글보 다는 오히려 로마자 사용이 국제환경에 적합하기 때문에 한글의 공식문자 채택은 실용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는지적도있었다. 찌아찌아족한글보급사건에서볼수있듯이한글에대 한 자부심은 문화제국주의로까지 나타났지만 한국인들 의 자국어나 문자에 대한 생각은 매우 이중적이고 상대 적이다. 다시말해한편으로는커다란자부심을갖고있지 만, 다른 한편으로는 타국의 언어에 대한 열등감, 또는 일 종의사대주의의식을갖고있다는것이다. 지금으로부터 45년 전인 1973년, 한글날을 하루 앞둔 10월 8일, 전국 각계각층에서 국어순화운동의 깃발을 올 렸다. 대한어머니회, 한글협회, 새싹회 등이 “국어의 사대 주의를 추방하자”는 목표로 외래어, 그중에서도 특히 한 글에숨어든한자어와일본말을추방하고자했다. 45년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건설과 인쇄술 같은 전 문영역뿐아니라일상언어에도일본어가뿌리깊게박혔 을뿐아니라한자를써야양반으로치부됐던전통시대의 유산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고맙습니다’보다는 ‘감사 합니다’, 타인의 아버지를 ‘춘부장’이나 ‘춘당’이라고 해야 더예의있는것처럼여겨지던시절이었다. 표준어, 교양있는사람들이쓰는서울말? 국어순화운동은 ‘우리말쓰기운동’으로 이름이 바뀌어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지금도 사회 곳곳에서 전개되고 있 다. 경제력의 성장과 함께 자국 언어에 대한 자부심도 높 아졌지만 여전히 영어 같은 서구 언어에 대한 사대가 계 18 시사속법률 차별은가고인권이오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