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12월호
것이다. 그러하기에그것은나만의행복이다. 그것은보편적인행복이아니다. 내가만들 고내가맛보는행복이다. 행복이란 것이 내마음속에 달려있다고말하는 이유가 그것이다. 내가 무엇에서즐거 워하고, 무엇에서기쁨을느끼는지, 나조차잊고살았던것들을되찾으며그것을만끽하 려는데서나의행복만들기는다시시작된다. 장자크 루소의 『고백록』을 보면 그의 삶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간에 대한 고백이 나온 다. 그를돌보아주고사랑하기도했던바랑부인과함께보낸레샤르메트에서의삶은루 소의삶에서행복의절정을이룬다. “해가 뜨면 일어나니 행복했다. 산책을 하니 행복했다. 엄마를 보니 행복했고 그녀 곁 에서물러나니행복했다. 숲과언덕을두루돌아다녔고골짜기를떠돌아다녔으며, 책을 읽었고, 빈둥거렸으며, 정원을 가꾸었고, 과일을 땄으며, 살림을 도왔는데 행복은 어디 서나 나를 따라다녔다. 행복은 무엇이라고 꼬집어 말할 수 있는 어떤 것에 있는 것이 아 니라완전히내자신안에있어서단한순간도나를떠날수없었다.” - 『고백록』, 6권 여기서 행복은 어떤 목표에 대한 성취의 결과가 아니라 내 존재 자체에서 나온다. 자 신의존재를느끼고, 그존재가행복하다는것을느끼는것이야말로루소에게는최고의 삶이었던것이다. 반대로, 자신의존재를타인들의시선과평판에서찾는사람은진정한 행복을느낄수가없다. 이렇듯루소에게행복은자기내부에존재하는것이었다. 우리도 이제라도 새로운 행복 만들기에 나설 수 있지 않을까. 지나온 삶이 공허하고, 어차피 마지막에는 바스러질 삶이 허망하게 생각된다 해도, 내가 스스로 만든 행복을 경험하는지금의시간은얼마나소중하겠는가. 그러니다음주말에는오직나만을위한 시간을갖도록결의해보자. 그모의를방해하는것이나타난다면반란을일으켜서라도 말이다. 거저 얻어지는 행복은 없지 않겠는가. 오직 나만 생각하고 나만을 위한 시간을 갖는 것, 그것은 이기적인 것이 아니라 내 삶을 충분하게 만들기 위한 당연한 요구이다. 그런 데도왜그리피해의식에갇혀주저해왔는지. 우리, 내삶의행복을쟁취하기위한삶의 혁명가가되자. 83 법무사 2018년 12월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