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1호’ 숭례문에 닥친 대재앙 서울 중구 남대문로 4가에는 국보 1호인 ‘숭례문’ 이 있다. 조선 시대인 1398년(태조 7년)에 준공됐으 며, 한양을 둘러싸고 있었던 도성의 남쪽 문이자 정 문 역할을 했다. 일제강점기에 숭례문은 여러 번에 걸쳐 수난을 겪 었다. 일제는 ‘숭례문’ 대신 ‘남쪽에 있는 문’이라고 비 하하며 ‘남대문’이라고 불렀다. 1907년 일제는 본국의 왕세자가 방한하자 “대일본 의 황태자가 머리를 숙이고 문루 밑을 지나갈 수 없 다”며 숭례문과 연결된 서쪽과 동쪽 성곽을 헐어버 렸다. 성곽을 헌 자리에 도로와 전차길을 내고 숭례 문 둘레에 화강암으로 일본식 석축을 쌓았다. 문 앞 에는 파출소와 가로등을 설치한 후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했다. 해방 후인 1962년 12월 20일, 정부는 숭례문을 ‘국보 1호’로 지정했다. 1995년에는 일제가 지은 ‘남대 문’을 버리고 본래 이름인 ‘숭례문’을 되찾았다. 김영삼 정권이 들어선 뒤 이른바 ‘역사 바로 세우 기’ 차원에서 문화재 명칭을 재검토하면서 본래 이름 을 찾은 것이다. 2006년 3월, 정부는 숭례문을 개방 해 일반인의 출입을 허용했다. 일제에 의해 출입이 금 지된 지 99년 만이다. 그러나 3년 후 숭례문에 대재앙이 닥친다.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쯤 숭례문 2층에서 시뻘건 불꽃과 함께 하얀 연기가 치솟아 올랐다. 불길은 강 한 바람을 타고 숭례문 전체로 번지기 시작했다. 목조 건물인 숭례문은 금세 화염에 휩싸였다. 불이 나자 소 방차와 소방관들이 출동해 진압에 총력을 기울였으 나 불길을 제때 잡지 못했다. 2월 11일 0시 25분에는 2층 누각 전체에 불이 붙었 고, 불이 난 지 4시간 만인 0시 58분에는 지붕 뒷면 이 내려앉기 시작했다. 얼마 뒤 2층이 붕괴되면서 1층 에도 불이 옮겨졌다. 그리고 오전 1시 54분, 기와가 와르르 무너지며 누 각을 받치는 석축만을 남긴 채 모두 붕괴됐다. 국보 1 호 숭례문은 이렇게 불길에 휩싸인 지 5시간 만에 잿 더미로 변했다. 늠름했던 위용은 간데없고 처참한 잔 해만 남았다. 아울러 국민의 자존심도 무너졌다. 2008년 2월 10일 저녁, ‘국보 1호’ 숭례문이 불길에 휩싸인다. 소방차와 소방관이 총출동했으나 숭례문은 화재 5시간 만에 잿더미로 변한다. 숭례문 CCTV 분석과 범죄검색엔진 ‘심스(CIMS)’를 통해 찾아낸 용의자는 60대 남성 채 씨. 그는 집이 도로로 강제 수용되자 그 보상에 대한 불만으로 창경궁을 방화한 전력도 있었다. 경찰에서 범행 일체를 자백한 채 씨는 「문화재보호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고, 대법원도 원심을 확정했다. 이후 숭례문은 온갖 비리와 잡음에 시달리다 복원되었다. 채 씨는 지난해 만기 출소했다. 23 법무사 2019년 6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