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7월호
약해질 대로 약해졌고, 결국 근육의 보호를 받지 못한 허리뼈가 상체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서서히 앞쪽으로 밀려나오면서 ‘척추전 방전위증’이발생한것이다. 그로인해척추관 이좁아지면서 ‘척추관협착증’도찾아왔다. “아, 그러니까 운동을 통해 허리근육을 키 우면허리뼈를보호해통증을멈출수있겠구 나, 그리고 운동은 중력을 거스르는 운동이 필요하겠구나, 큰깨달음을얻은것이죠.” 원인을 알고 보니 해결법은 간단했다. 우리 몸은 중력의 법칙에 지배를 받기 때문에 몸 무게가 무거울수록 중력이 커져 허리를 짓누 르는강도도커지고, 그만큼허리가몸무게를 감당하기힘들어진다. 예를들어철봉에매달 리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단박에 허리통증이 사라지는 걸 느낀다. 반중력 상태에서 눌린 목·허리뼈가죽펴지기때문이다. 따라서 허리병을 고치려면 무엇보다 체중 을 줄여 중력의 하중을 덜 받게 하는 것이 중 요하다. 그런 다음에는 운동을 통해 중력을 감당할수있도록허리근육을키워야한다. 운동으로는 반중력 운동인 철봉·평행봉에 매달리기, 거꾸로 매달리기, 그리고 허리근육 을 강화시키는 걷기, 달리기, 등산, 윗몸일으 키기, 자전거타기, 마지막으로어느정도근육 이 길러졌다면 서서히 중량을 높여가는 역기 운동을 통해 몸을 누르는 중력을 이길 수 있 도록허리근육을단련시키는것이좋다. “사람들은 요가와 같은 특별한 운동을 하 면허리가좋아질거라고생각하지만전혀그 렇지않아요. 누구나쉽게할수있는걷기, 달 리기등의운동이허리근육을키우는데는최 고로좋은운동입니다. 특히저처럼 ‘척추전방 전위증’을가진분들은경사진산을올라가는 등산이 허리뼈를 뒤로 밀리게 해서 제자리를 찾게 해주는 좋은 운동법 이죠.” 그는 스스로 연구해 알아낸 이 운동법으로 이미 10년 전에 허리병을 완전히 치유했다. 지금은 설악산을 장시간 등반해도 아무 문제가 없고, 20kg짜리역기를들어올려도끄떡없는건강한허리를자랑하고있다. “그야말로 산전수전을 다 겪은 후에 스스로 연구해 허리병을 고치고 나니, 이 경험을 저처럼 허리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싶 어지더군요. 이렇게 쉬운 방법을 몰라서 지금도 고통받는 환자들이 얼 마나 많아요. 그래서 2011년에 ‘대한허리튼튼연구원’을 만들고 제 경험 을여러사람들에게전파하고나눠주는운동을하고있습니다.” 허리튼튼운동법, 열정적인 ‘나눔 운동’ 나서 이 법무사의 ‘허리튼튼 운동’ 나눔에 대한 열정은 실로 대단하다. 장 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청소년들에게 허리근육을 키우는 철봉운동을 꼭시켜야한다는생각에각학교체육선생님과서울시체육진흥과, 보 건복지부, 교육대학교 총장 등에게 철봉 설치와 철봉운동 교육을 역설 하는 편지를 보내는가 하면, 중력의 원리에 대해 배우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저자들을 직접 찾아가 교과서의 중력 원리 설명에 철봉 에매달리는사례를넣어달라고건의해관철시키기도했다. 2015년에는자신의허리튼튼치유법과현대인의허리병에대한단상 들을 모은 책, 『사람은 왜 목·허리·무릎이 아플까?』를 발간했다. 그리고 육·해·공군참모총장에게많은장병들이읽을수있도록부대에배치해 달라는 건의의 편지도 썼다. 이런 적극적인 활동으로 다양한 공공기관 에서그를찾아허리운동법에대한강의를듣고있다고한다. “2014년, 세월호사건이났죠. 그때정말가슴이아팠습니다. 우리아 이들이 학교에서 부력보다 중력이 크다는 원리를 제대로 배웠다면 가 만히 있으라는 소리를 무시하고, 갑판으로 올라가 구조를 기다리지 않 았을까요? 학교교과서에서제대로가르쳐야한다는생각이들었고, 교 육청홈페이지에건의문을올렸습니다. 그건의문을보고중앙119 구조 본부장이 강의를 청탁하더군요. 그래서 소방관과 응급구조사들을 대 상으로특강을하기도했죠.” 그의 이런 열정 덕분에 허리병으로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56 법무사시시각각 + 법무사가달린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