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9월호

요. 그때는 어쩔 수 없이 힘든 결정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지금 생각해 도마음이아픕니다.” 그는재삼강조한다. 법무사라는그를둘러싼주위의모든역학적관 계들이 ‘신뢰’라는 끈끈한 정으로 얽혀 있었기에 결국에는 실타래처럼 모든 것을 풀 수 있었다고. ‘법무사’라는 타이틀을 보고, 시공사(건설회 사)와 금융사들이 “세경은 틀림없다. 믿을 수 있는 회사다”라며 인정해 준다는것이그는무엇보다자랑스럽다. 그는 사회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고, 조금이라도 그 보답을 하고 싶 어공익활동이나기부에도관심을가지고실천하고있다. “우연한기회에기부를했는데, 하다보니계속해야되겠구나라는생 각이 들었습니다. 기회가 되면 기부해야겠다 는것도굳이철학이라면철학일까요?” 그는 지난 20여 년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의 경남후원회 부회장으로, 창원대학교 발전 위원회 부회장으로, 경남사격연맹 부회장 등 으로이웃을위해미력한힘이나마애써섬겨 왔다. 그동안 출연한 기부금만도 대략 3억 5 천만원정도에달한다. 기부금이 1억 이상인 사람만 회원이 되는 ‘그린노블클럽’의 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그 는회사규모가커지는만큼기부의규모도늘 리고, 기회가된다면법무사이름의기부단체 를만들고싶은꿈을가지고있다. “요즘 법무사업계가 많이 어려운데 상투적 인 말일지 모르지만 법무사들 간의 과당경쟁 을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스스로의 시 장을갉아먹지않도록말이죠. 우리 업계의 블루오션은 법률사각지대의 틈새시장이라고 봅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찾 고 발굴해야죠. 사무실 위주의 폐쇄지향적인 경영에서 벗어나 더욱더 외부로, 사회지향적 으로나아가야해요. 예를 들어 어린이재단이나 YMCA 같은 각 종공익적단체들에참여해활동하는것도장 기적인 면에서 유익한 활동이라고 생각합니 다.” 앞으로의 꿈에 대해 궁금해하자 그는 이렇 게말했다. “자만하거나 방심하지 않고, 더 열심히 성 실하게 사업체를 운영하고 발전시켜 법무사 가상당한역량이있다는것을보여주고싶습 니다. 지역사회에서법무사가존경받을수있 도록 하고 싶어요. 항상 법무사인 걸 고맙고 자랑스럽게생각하고있습니다.” “시행사업(디벨로퍼)은이분야를 이해하고자금력이조금뒷받침 된다면법무사로서해볼만한 사업입니다. 투자대비직원대비 생산성이 엄청높은사업이거든요. 특히법무사는토지권리분석에 능하기때문에이분야의일에 상당히유리합니다.” 55 법무사 2019년 9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