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6월호

오천년 역사와 단일민족을 자랑하던 우리 나라도 90년대부터시작된국제화, 세계화로 국경 없는 지구촌의 일원이 된 지 오래다. 세 계화의물결은노동의이동도자유롭게해고 도성장에 따른 경제 발전으로 노동력의 수요 가 증가하던 우리나라에도 많은 외국인 노동 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들어왔다. 그 결과 국 내의 외국인 인구와 국제결혼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다. 지난 3.19.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9년 한국인의 국제결혼 신고 건수는 2만 3643건 으로, 당시결혼한커플 10명중 1명은외국인 과결혼한것으로나타났다. 국제결혼이늘어 나자 다문화가정도 늘어났다. 지금 면단위 지 역초등학교학생의 70%이상이다문화가정의자녀라고한다. 그러나 전혀 다른 문화권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교육 받은 사람끼리 가정을이루어함께살아간다는것이결코쉽지않은것이현실이다. 더 욱이 언어가 다름에서 오는 소통의 부족과 갈등의 해소가 어렵다는 커 다란장애가존재하기에국제결혼의수만큼높아지는국제이혼도피할 수없는우리생활의일면이되었다. 국제가사 서류 번역하다 법무사 전직 후 전문 업무로 설재순 법무사(서울중앙회)는 개업 초기부터 국제이혼, 국제입양 등 국제가사사건을전문적으로다루어온법무사업계최고의전문가다. 국 제가사사건은법률시장에서꾸준한증가추세에있지만, 법무사들에게 는외국어등의장벽으로인해접근이쉽지않은분야다. 글· 취재 / 김종모 법무사(서울중앙회) · 본지편집위원 “더욱 커지는 국제가사시장, 이제는 법무사가 주도해야죠!” 국제가사사건 전문, 설재순법무사 56 법무사시시각각 화제의법무사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