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9월호

최근 들어 법무사업계의 미래에 관하여 비 관적인 시각을 가진 법무사들이 부쩍 많이 늘 었다. 법무사업자체가계속유지될수있을까 걱정할 정도로 극단적인 비관론을 펴는 경우 도 많다.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현대사회의 격랑 속에서 등기를 비롯한 법무시장 역시 과 거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달라지고 있음을부정하기어렵다. 그러나 120년 역사를 자랑하는 법무사업 계가 무기력하게 허물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 다. 많은 뜻있는 법무사들이 과거에서 지혜를 찾고 현재의 변화를 분석하면서 다가오는 미 래를준비하고있다. 법무시장의 재편성, 눈앞에 와있는 차세대 등기제도, 코로나-19 이후 예상되는 생활 전 반에 걸친 변화 등을 거부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환경에서 우리 업계가 나아가야 할 길을 찾는 것 이다. 대한법무사협회도 미래등기대책위원회, 공익활동위원회 등을 통해 서울시 공익법무사단, 자살유족지원사업 등 공익사업과 회생·파산업무, 성년후견업무지원등다방면으로변화에대응해직역을확장하고대국 민이미지제고를위해노력하고있다. 이러한 협회 차원의 노력뿐 아니라 법무사들 내부에서도 법무사제도 전반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 하고 있는 단체가 있다. 바로 ‘한국법무사정책연구원’(이하 ‘연구원’)이 다. 지난 8.12.(수), 연구원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임승완 법무사(서울중 앙회)를찾아연구원의활동과계획에대해이야기를나누어보았다. 2018년 발족한 한국법무사정책연구원, 30여 명 활동 중 “제가 95년에 법무사 개업을 했는데, 당시는 신도시 개발과 주택 글· 취재 / 김종모 법무사(서울중앙회) · 본지편집위원 “‘법무사중재원’의 설립, 꿈같은 일로만 들리나요?” ‘한국법무사정책연구원’ 이사장, 임승완법무사 52 법무사시시각각 화제의법무사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