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법무사 8월호
무척 두꺼운 행성으로, 그 때문에 온실효과 가 아주 크다. 핸슨 박사는 금성 대기를 모델링하는 작업을 지구에도 적용해 보았는데, 인류의 산업과 경제활동으로 인해 지구 대기 중의 온실가스 온도가 꾸준한 증가하고 있어 수 십 년 안에 지구가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더 워질 것이라는 걸 예측해냈다. 80년대에 그 가 본격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의 기온상승 폭이 당시 핸 슨 박사가 모델링한 결과보다도 더 높은 수 치를 기록 중이라고 한다. 앞으로 우리 후손 들이 살아가야 할 지구가 과연 어떤 모습일 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무력감대신적극적인기후변화교육을 지금과 같은 속도로 빙하가 녹아내린 다면, 우리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었을 때 는 더 이상 눈 덮인 북극에 사는 산타를 상 상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극지 방은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보다 훨씬 더 빠 른 속도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십 년 내에 극지방의 기후는 근본적 법으로본세상 <도표 1> 10년마다측정한폭염의빈도, 지속기간및강도 (출처: 미국환경보호국, NOAA) 1960s 1970s 1980s 1990s 2000s 2010s 7 6 5 4 3 2 1 0 1960s 1960s 1970s 1970s 1980s 1980s 1990s 1990s 2000s 2000s 2010s 2010s 80 70 60 50 40 30 20 10 0 3.0 2.5 2.0 1.5 1.0 0.5 0 1960s 1970s 1980s 1990s 2000s 2010s 5 4 3 2 1 0 폭염빈도 연간평균폭염발생수 폭염시기 연간평균폭염시기지속기간(일) 폭염지속기간 각폭염의평균지속기간(일) 폭염강도 폭염기간중해당지역기준초과기온상승폭(화씨) 26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