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법무사 9월호
로 세무사와 의뢰인, 저, 이렇게 세 명이 함께 모여 해결 책을 상의 했고, 문제는 수월하게 해결되었습니다. 만일 우리가 협업하지 않았다면, 의뢰인은 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꽤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했을 거 예요. 협업하기를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박 법무사는 협업에 대해 상당히 만족하고 있었다. 자신과 같은 형태의 협업이 어렵다면, 세무사 사무실이 나 세무법인의 여유 공간에 들어가 협업의 장점을 느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경제적 문제가 부담이라면, 그 부담을 최소화해 한번 시작해 보라는 것 이다. 공유오피스모델의법무사법인을꿈꾸며 “협업 전과 비교해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거래처가 상당수 늘었습니다. 당연한 결과로 수임 사건 의 수도 그만큼 늘었죠. 협업하면서 예전에 사무원 2명을 두고 일했을 때는 느껴보지 못한 활기차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경험하고 있 어요. 제게 매우 긍정적인 자극을 주지요. 하지만, 구성원들이 많다 보니 협업 요청으로 인해 의뢰인과의 상담이나 업무 집중도가 끊어지는 경우가 있 박희봉 법무사는 자신의 협업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법무사법인을 만들고 싶은 꿈이 있다. 법무사와 세무사 각각 50인 이상의 인원이 하나의 공유오피스를 사용하거나 법인의 구성원이 되어 활동하는 형태의 법무사법인이다. 습니다. 그래도 협업의 이점이 훨씬 더 크니 그 정도 불 편은 문제도 아니죠. 아직 현재와 같은 협업은 6개월 정도 해 본 거라서 장점만 부각되는 면이 있네요. 시간이 지나면 단점도 나 타날 겁니다. 하지만 현재의 분위기를 잘 유지한다면 단 점이나 갈등이 나타나도 잘 해결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 고 있어요.” 법무사업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새로운 형태 의 법무사법인을 꿈꾸며, 지금의 의뢰인에게 최선을 다 하면서 한 발짝이라도 더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법인으로부터 업무의뢰가 들어오면, 저는 되도록 그 업체를 방문합니다. 그리고 대표나 중간관리자를 만 나 현재의 고민이나 고충을 들어주고, 그 문제를 해결해 주려고 노력하죠. 그렇게 인연을 만들고, 나아가서는 법 인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법무상담도 받아서 해결해 줍니 다. 거래처에 신뢰를 심어주고, 확실한 고객을 만드는 데 이보다 좋은 방법이 없지요.” 그는 협업 사무실의 성공도, 법무사의 성공도, 어렵 다고 자리에 앉아 고민하기보다는 한 발이라도 사무실 밖으로 나가 움직이고 적극적으로 다가가려는 행동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말보다는 실천이 앞서고, 모두에게 늘 친절한 박 법 무사의 구상이 현실이 되어 나타날 날도 머지않았다. 51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