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법무사 10월호

마음이 아프고 싶어서 아픈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모두 원치 않게 상처받고 또 괴로워합니다. 그런데 그보다 더 아픈 일은 그런 자신을 비난하는 겁니다. 쿨하지 못하다고, 단단하 지못하다고스스로를다그칩니다. 타인들도 마찬가지예요. 우울증을 겪는 자녀나 친구에게 ‘니가 약해 빠져서 그래’라며 의지박약으로 여기는 겁니다. 그 렇지않아도상처받은마음에또한번상처를내는거예요. 하지만 마음을 취약하게 만드는 외부적인 요인이 존재한 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코로나를 겪으며 우울증 환자들 이늘어난것만봐도그렇죠. 조사에의하면한국의우울증유 병률은 OECD 1위라고 하는데요, 코로나 이후 증가한 비율이 다른국가에비해월등히높았습니다. 왜 어떤 국가는 행복지수가 높고, 어떤 국가는 우울증 비 율이 높은 걸까요. 개인차로만 설명할 수는 없겠지요.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사회·문화가 심리적 건강에주는영향을빼놓을수없다는것이죠. 그렇다면 어떤 환경요인이 우리를 취약하게 만드는지, 또 그이유는무엇인지살펴보도록할게요. 영혼을궁핍하게만드는소비사회 최근 ‘돈’에 대한 얘기가 상당히 늘어났습니다. 어딜 가나 재테크, 주식, 부동산에대한얘기가빠지지않아요. 현대인의 핵심 키워드인 ‘소비’에 대한 이야기도 마찬가지죠. 버는 것도 쓰는 것도 우리 삶에 너무나 중요한 부분입니다. 자본주의 사 회에살고있으니까요. 자본주의 사회는 ‘돈에 대한 욕구’를 토대로 형성되었어 요. 소유욕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이러한 욕구가 없다면 경제 가 돌아가지 않을 겁니다. 소유욕은 더 많은 돈을 벌게 했고, 더많이소비하게합니다. 한국의경제가성장할수있었던것 도 윗세대에서 그만큼 소비해 왔기 때문일 거고요. 그렇게 경 제가 발전한 덕택에 우리는 현대문명의 이기를 누리며 살고 있습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돈에 대한 욕구는 점점 더 부추겨지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소비’는 우리의 일상을 가득 채우고 있어 요. ‘탕진잼’(탕진하며 느끼는 재미)이나 ‘플렉스’(돈을 과시한 다, 일시불로큰돈을쓴다) 같은신조어는작금의소비에대한 분위기를잘나타내주는듯합니다. 이런분위기를부정적으로보는시선들도있지만, 소비아 래에 깔린 소유욕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구입니다. ‘독일의 워렌 버핏’이라 불리는 투자철학자 앙드레 코스톨라니(Andre Kostolany)는 “사회주의에 비해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인간의 본성에 더 가깝다”고 해석했어요. 모든 인간의 본성인 소유욕 이자본주의시스템과만나가속화되고있는것이지요. 그런데문제는이런현상이우리마음을병들게하고있다 는것입니다. 겉으로보여지는사회는풍요로워졌지만, 마음이 궁핍한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돈을 과시하는 사람들이 많 은만큼 ‘돈’ 때문에우울해하고괴로워하는분들이많아요. “돈이정말로우리를행복하게하는가?” 이질문에어떻게 대답할수있을까요. 이전보다더많이가졌고, 더많이소비하 며 살고 있는데 사람들의 내면은 더 취약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보세요. 아마쉽게답하기어려울겁니다. 그래서인지 소비사회의 위험을 깨달은 사람들 중 일부는 의도적으로 ‘미니멀’한 삶을 추구하기도 합니다. 미니멀리스트 인 진민영 작가는 저서 『조그맣게 살 거야』에서 “사야 해서 필 요를 만드는 소비가 아니라 필요해서 사는 소비 습관이 중요 하다”고 말합니다.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려서 무언가를 사야 만자신이인정받는다고여기는게문제라는지적이지요. 왜어떤국가는행복지수가높고, 어떤국가는우울증비율이높은걸까요. 개인차로만설명할수는없겠지요. 인간은환경과상호작용을하면서살아갑니다. 심리적건강에사회·문화가주는영향을 빼놓을수없는것이죠. 그렇다면어떤환경요인이 우리를취약하게만드는것일까요? 79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