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법무사 2월호

신체나이, 10년 젊게 유지하려면? 김예림 ● 몸쓰는HRD연구소장 · 운동심리학자 ‘신체나이’는 노화하는 신체의 정도를 객관적인 지표로 측정 한 것이다. 태어난 해가 같은 40대라도 각자의 노화 정도를 측정하 면 20대의 신체나이를 가진 사람도 있고, 60대의 신체나이를 가진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신체나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는 식습관, 생활 운동량, 스트레스 정도 등이 있다. 우리가 매일 먹고, 움직이 고, 느끼는 것들을 얼마나 건강하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신체나이 를 실제 나이보다 10년은 더 젊게 유지할 수 있다. 우리 몸의 수명은, 40세까지는 유전이나 지역적 특성이 반영 되어 결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40대를 넘고부터는 젊어서부터 유 지해 온 건강한 생활 습관과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관리력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몸 관리 습관을 잘 들이면 그만큼 젊게 살 수 있다 는 것이다. 내 신체나이는 몇 살일까? 미국 듀크대학교의 댄 벨스키 교수팀은 1972~1973년에 태어 난 성인 954명을 대상으로 텔로미어, 장, 간, 폐, 콜레스테롤 수치, 심폐기능 등 총 18가지 항목을 조사한 연구에서 노화는 평균 26세 부터 시작되며 38세 이후 빠르게 진행된 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스탠퍼드대학교 연구진은 노화가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34세, 60세, 78세에 갑작스럽게 노화가 촉진되는 ‘노화 부스터(booster)’ 작용이 일어난다고 했다. 즉, 우리 몸은 서서히 늙어가는 것이 아니 라, 특정 시기를 지나면 확 늙어버리는 노 화 부스터 과정을 겪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노화 부스터 시기를 거치더라도 신체나 기능상의 큰 변 화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젊음을 유지하는 타고난 유전자를 가진 사람도 있 지만, 신체와 정신을 건강하게 관리해 신체 나이를 젊게 유지하며, 노화를 늦추는 사 람들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지금 신체나이는 어 느 정도일까. 다음 측정표를 통해 측정해 보자. 신체의 건강이 반영된 ‘신체나이’는 생활습관의 변화만으로 10년은 줄일 수 있다. 우리 몸의 수명은 40세를 넘고부터는 젊어서부터 유지해 온 건강한 습관과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력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72 소확행 건강관리 바쁜 현대인을 위한 짬짬이 건강관리법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