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법무사 7월호

열리지 않았고, 제21대 국회 임기가 종료되며 개정안은 무산되었다. 3. 「법무사법」 개정 입법 과정의 성과와 과제 「법무사법」 개정 입법을 위해 위와 같이 많은 노력 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법안이 무산되는 좌절이 있었으나, 이 과정에서 경험으로 얻은 성과도 있었다. 이 하에서는 향후 입법 추진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그 성 과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가. 법원행정처와 수정법안의 조율 그 첫째는 법원행정처와의 조율을 통해 “법률관계 에 관한 서류의 작성”을 “사법영역에 관한 법률관계에 관한 서류의 작성”으로 조정한 것이다. 법률관계에 관한 서류의 작성은 개정 작업 초반에 행정사업계의 반대가 심했던 부분이다. 이 내용을 “사법 영역에 관한 법률관계에 관한 서류의 작성”으로 조정함 으로써, 행정사업계와 대립할 소지를 없애고, 소기에 달 성하고자 했던 내용의 실효성도 담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만들어졌다. 이후 입법 과정에서 이러한 성과를 잘 살려갈 수 있 기를 바란다. 나. 입법 준비과정의 정형 세우기 입법 준비 과정에서 3가지 활동 방향성을 설정했다. 그 첫째는 법조계 설득을 위한 법리적 논거 준비, 둘째는 시민사회의 지지 얻어내기, 셋째는 입법 당위성을 확보하 기 위한 여론조사의 실시였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심혈 을 기울여 활동한 결과 나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바, 입법 준비과정에 있어 하나의 정형이 될 것으로 본다. ① 「법무사법」 개정의 논거를 치밀하게 준비해 공감을 얻어냈다. 「법무사법」 개정안의 논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강 구욱 교수(한국외대 로스쿨 교수, 부장판사 역임)의 연구 용역 보고 및 발표로 민사집행·민사소송 학계의 공감을 얻어냈고, 이를 통해 법원행정처의 의견이 긍정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기여했다. ② 시민사회 지지를 얻어냈다. 경실련과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와 밀접하게 교류하 며 시민사회 여론의 지지를 얻어내려 노력했다. 그 일환 으로 「법무사법」 개정 공청회(2023.7.13. ‘국민불편 해소 와 사법접근권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국회 공청회’)에 경실련 윤철한 기획연대국장, 박인복 소기업소상공인연 합회장, 장희정 한부모연합대표가 토론자로 참가하여 지지 입장을 밝혔다. ③ 여론조사 실시로 민생법안의 명분을 세웠다.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국민 1천 명을 대상으로 대국 민 여론조사(2023.6.9. 「법무사의 사법보좌관 업무 관 련 국민인식조사」)를 실시, 사법보좌관 업무 대리권 부 여는 국민의 52%가, 비송사건대리권 부여는 56%가 지 지한다는 결과를 얻어냄으로써 다수 국민이 지지하는 민생법안의 명분을 세울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준비를 통해 국회의원을 만나 법안에 대 한 충분한 논거와 자료를 바탕으로 한 설득력 있는 설명 이 가능했고, 그로 인해 의원들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 었다고 본다. 향후 법안을 다시 준비할 때, 어떤 과정이 필요한지에 대한 전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다. 지방회장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광범한 설득과정 한편, 법사위 소속 의원들의 지역구가 있는 지방법 무사회장을 비롯한 임원과 지부장, 그리고 회원 법무사 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의원들을 설득하는 활동을 43 2024. 07. July Vol. 685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