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여고생들의 ‘최애’ 간식은 떡볶이가 아닌 ‘마라 탕’이라고 한다. 매운맛을 사랑하는 한국인의 취향을 저 격하면서도, 한국식 양념과 달리 얼얼하고 오묘한 맛이 10대들에게 제대로 어필한 듯하다. 이렇듯 중독성 강한 마라탕이 탄생한 곳은, 바로 실용주의 정치인으로 알려 진 덩샤오핑의 고향, 쓰촨 지역이다. • 실용주의자 덩샤오핑, 경제 급성장에도 민주주의 후퇴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좋은 고양이다.” 덩샤오핑은 유명한 ‘흑묘백묘론’을 내세우며 개혁개 방 정책을 주도했다. 당시 중국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와 문화대혁명 후유증으로 국력이 크게 쇠퇴해 있었다. 경 제난이 가장 큰 문제였고, 사회질서를 복구하는 일도 시 급했다. 덩샤오핑은 중국을 둘러싼 죽의 장막을 일부 거 두고, 마오쩌둥의 강경노선을 벗어나 유화책을 시도한다. 농업, 공업, 과학, 국방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한 개혁개방을 선언했다. 기업가와 농민의 이윤을 보장하고 지방 자치권을 확대하며, 엘리트 양성과 외국인 투자 허 용으로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한다. 중앙통제식 농업 대신 가구별로 자율적 농업을 허 용하고, 특히 남아도는 농작물을 팔아 수익을 올릴 수 있 도록 했다. 이러한 정책이 성공하면서 1981년 중국은 ‘식 량의 자급자족’이라는 목표를 이뤘다. 식량 문제가 해결되자 덩샤오핑은 공업 등 2차 산업 을 육성하고자 했다. 부족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그 는 미국과의 수교라는 과감한 정책을 택했다. 1979년 1 월, 중국 공산당 최고위 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덩샤오 핑은 미국을 방문해 경제협력 약속을 이끌어냈다. 선전, 상하이 등 남동부 해안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4대 경제특구는 서방의 생산기술과 자본, 기반 시설을 받아들이며 급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경제발전 후에도 얼얼한 화자오 향 가득한, 개혁가의 식탁 실용주의자 덩샤오핑과 매운맛 정세진 작가· 『식탐일기』, 『내 책갈피 속 봉봉』의 저자 쓰촨 요리 슬기로운 문화생활 역사 속 인물들의 소울푸드 이야기 76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