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연구 1권 창간호(2010.3)

- 113 - 이화여자대학교 100 876 99 8.76 41(41.4%) 58(58.6%) 92(92.9%) 인하대학교 50 410 50 8.20 - - - 전남대학교 120 507 120 4.23 31(25.8%) 89(74.2%) 81(67.5%) 전북대학교 80 638 80 7.98 7(8.8%) 73(91.2%) 59(73.8%) 제주대학교 40 135 39 3.38 0(0%) 39(100%) 28(71.8%) 중앙대학교 50 466 50 9.32 9(18.0%) 41(82.0%) 47(94.0%) 충남대학교 100 452 100 4.52 10(10.0%) 90(90.0%) 71(71.0%) 충북대학교 70 287 70 4.10 7(10.0%) 63(90.0%) - 한국외국어대학교 50 449 50 8.98 14(28.0%) 36(72.0%) - 한양대학교 100 814 100 8.14 16(16.0%) 84(84.0%) - 계 2,000 13,691 1,998 6.85 3. 로스쿨 합격자 현황 및 분석 로스쿨 합격자 중 성별 현황은 남성이 1,206명(60.4%), 여성이 792명(39.6%)이고, 전공별 현황은 법학전공자가 691명(34.6%), 비법학전공자가 1,307명(65.4%)이다. 연령 별 현황은 26~28세가 667명(33.4%), 23~25세는 556명(27.8%), 29~31세가 375명 (18.8%), 32~34세는 199명(10%), 35세 이상이 102명(5.1%), 22세 이하는 98명(4.9%) 이다. 합격자 성향을 살펴보면, 첫째, 법학 전공자와 비법학 전공자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35대 65의 비율로 나타나 사법시험 최종합격자 비율에서 나타나는 2대 1의 비율을 정반대로 역전시킨 결과가 되어 로스쿨 도입의 취지 중 하나인, 다양한 전공자가 법 조계에 진출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지원자 대비 합격률을 보면 28세까지의 지원 비율이 53%이지만 합격자 비율 은 60%에 이르고, 29세 이상의 비율은 반대인 결과로 나타나, 결국 20대 연령에 비해 30대 이후 연령층의 합격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진 것은 오히려 사회 경력자들을 흡수 한다는 도입 취지를 충족시키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