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연구 3권(2012.3)
374 법무연구 제3권 (2012. 4.) 은 거의 없었다. 그동안 각 지방 법무사회 및 지방법원이나 지원간의 간담회 등 을 통하여 수년전부터 매년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의견을 법원에 전달하곤 하였 지만, 이러한 지방법무사회와 각 지방법원이나 지원간의 간담회 등만으로는 문 제해결에 한계가 있음을 절감하였기에, 매우 이례적이고 유감스러운 일이지만 이렇게 여러 법무사들의 의견(시험출신법무사동우회, 전국여성법무사회, 미래를 여는 법무사 모임)을 모아서 대법원에 직접 청원서를 제출하는 방법으로 의견을 전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신현기 이론실무 보전처분, 법률서원, 2008, 박두환 민사집행법, 법률서원, 2003, 강대성 민사집행법, 삼영사,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민사집행(Ⅰ,Ⅳ) (2003) 사법연수원 보전소송(2008) 권창영 민사보전법, 유로(2010) 권창영 보전소송에서 보전의 필요성의 지위 - 가압류·계쟁물가처분의 보전이 유를 중심으로 -2009. 8.31. 서울남부지방법원 간담회자료집 정성균 가압류와 보전의 필요성, 2009. 8. 31. 서울남부지방법원 간담회 자료집 서경환 법원의 새로운 보전처분 심리방식, 한국민사집행법학회지 1권(2005) 오상용 미국보전처분의 채무자심문제도, 민사집행법 실무연구Ⅱ, 법원도서관(2009)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