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연구 8권(2020.9)
98 법무연구 제8권 (2020. 9.) 【참고문헌】 강기홍, “중앙집권적 사법행정권의 현황과 과제”, 2017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 회, 2017. 2. 4. 김도현, “사법개혁과 법관인사제도”, 민주법학, 관악사, 2005. 12., 김윤상, “새정부의 국정과제:사법정책(검찰개혁), ‘검찰권에 대한 통찰 및 정책적 과제 토론문’”, 국회입법조사처 『정책&지식』 포럼, 2017. 2. 23. 대한변호사협회, “검사직선제도입을 촉구한다.”, 대한변협 신문, 2016. 12. 8.자 보도자료. 문준영, “검사의 법적 성격과 조직방식에 관한 논의의 비판적 고찰”, 민주법학 제26호, 2004. 8. 법률신문, “검찰 개혁 방안, 제대로 방향 잡아야”, 2019. 11. 28. 사설 백광훈, “바람직한 검찰개혁의 방향”, 형사정책연구, 2003. 6.,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서보학, “검찰의 현주소와 법치주의의 위기”, 법과 사회, 법과사회이론학회, 2010. 12. 서보학, “수사권의 독점 또는 배분? -경찰의 수사권 독립 요구에 대한 검토-,” 「형사법 연구」, 1999. 성중탁, “특별검사법과 특별감찰관법에 대한 입법평가”, 입법학연구, 한국입법학회, 2017. 3. 이완규, “검사동일체원칙과 관련된 몇 가지 오해”, 형사정책연구소식 제78호, 한국형사 정책연구원, 2003. 7/8월호. 이호중, “검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와 검찰개혁의 과제”, 서강법학 제9권 제2호, 서강대 법학연구소, 2011.8. 정욱중,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방안”, 형사법의 신동향, 대검찰청, 2012. 12. 조 국, “현 시기 검찰, 경찰 수사권조정의 원칙과 방향 -형사소송법 제195조, 제196 조의 개정을 중심으로,” 「서울대 법학」, 2005. 참여연대, 검찰개혁의견서. 1999 하태훈, “새정부의 국정과제:사법정책(검찰개혁), ‘검찰권에 대한 통찰 및 정책적 과제’”,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