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연구 8권(2020.9)

법무사제도의 연혁과 변천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황정수 65 【참고문헌】 구혜란, “전문직서비스의 분화과정:법률전문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2000) 김병화, 「근대한국재판사」,한국사법행정학회(1974) - , 「속근대한국재판사」,한국사법행정학회(1976) 김정수, 「한국법무사법」, 법률서원(2006) 김효석, “법무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연혁 및 개정방향”, 법무사저널(2008, 3 ・ 4) 김효전, “근대 한국의 변호사들” 동아법학 Vol.23(1997) 노명선, 「법무사제도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2011) 박경재, “법률전문직의 구조와 갈등”, 부산대학교 법학연구(2016. 2) 이상혁, 차형근, “한국변호사100년의 발자취”,저스티스(1994) 전계원, “법무사의 사회적 역할”, 법무사(1996. 12) 정상태, “법무사제도의 변천과정”, 법무사(2008 .8) 정승렬, “법무사의 입찰대리권의 본질”, 법조[2005. 2(Vol.581)] 정주수, 「한국법무사100년사」, 사법행정문화원(1998) - , “법제사, 법무사제도의 연혁에 관한 고찰 : 법무사의 역사를 말한다”, 사법행정(2009) - , 「한국 법무사史법제연구」 동문(2017) 小林昭彦·河合芳光, 「注釋 司法書士法(第2版)」, テイハン(2007) 대한법무사협회, 「법무사백년사」, 육법사(1997) 대한법무사협회, 「법무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관한 설명자료 및 검토의견」 법원행정처, 법원사(1995) 대한변협50년사(2002) 국회도서관, 한말근대법령자료집Ⅰ, Ⅱ 국회속기록 제71회-법사제1차 5. 사법서사법중개정법률안 비상국무회의(1973. 2. 20.) 법률 제2551호(1973. 2. 24.공포) 의 국무회의 회의록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