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법무사 3월호

... I 62 法務士3멀포 통과 절망은 어찌 이들 대학생에 비하랴 3 년전 외환 위기때 국난극복을 위하여 금모 으기 운동에 동찹하였던 많은 사람들이 왜 이민대열로 돌아서고 있는지 특단의 분석 과 대책이 절실히 요망되는 시접이다. 죽으나 사나 이망에 납아 살아가야할 대 다수 국민들의 상처받은 좌절감은 무엇으 로치유하여줄수 있을까 이땅의 미래를 펼칠 젊은이 들이 이나라 를 떠나려 하는 것은 이나라의 미래가 없음 을뜻한다. 그들을 이민 대열로 몰고 있는 원인은 그 밖에 또 여러 가지가 있을수 있다. 우리 사회에 팽배된 사회적 불의,경제적 불평등.기득권층의 도덕적 타락, 부정 부패 만연.게다가 이런 현상들이 좀처럼 바뀜 기 미가보이지 않는데서 오는좌절감,무력감, 울분이 작용하였을것이다. 또한 사람보다는 돈이, 공동체적 연대의 식보다는 약육강식의 정글법칙이, 개인의 능력과 자질보다는 지연, 학연같은 전근대 적 연줄이 더 큰힘을발휘하는우리사회에 임증을느꼈을것이다. 뿐만아니라 상위 20%는 잘살고 나머지 80%는 더욱 빈곤해지는 20대 80의 사회로 빠르게 바뀌어가며 빈곤의 고착화, 세습화 가 촉진되고 있는 병리현상에 희망을 찾기 가어려웠을것이다. 굶기를 밥먹듯하던 50년대며 군사 정권 화에서 억압받던 60, 70년대에도 이토록 절망감이 세상을 짓누르지는아니하였다. 그때에는 그나름대로 꿈을 통을 고통으로 생각하지 가지고 고 아니하였기 때 문이다. 문제를 풀려면 문제의 본질과 실상에 대 한공통인식이 전제되어야한다. 국민과 동떨어진 생각을 하거나 상황진 단을 잘못한다면 나라는 산으로가야 할때 강으로 가는 꼴이 될 수 있다. 고동안 ‘‘교육 개혁’’ 구호가 수없이 난무하여 왔으나 급기 야 공교육은 파탄에 빠지고 사교육비 부담 이 사상 최고조에 달하게 만든 교육정책의 실패로 교사의 권위는 사라지고 교실은 난 장판으로 붕괴되고 대학은 실용과 담쌓은 무기력한졸업생만양산하고 ... 출구가 보이지 않는 우리 교육 현실에 절 망하여"아이만이라도 탈출시기자”는 생각 으로 가족해체 (?)도 불사하며 “맹모아빠’, " 의기러기아빠”를 양산하고 있다. 추락하는 한국교육현실이 빚어낸 신(新) 이산가족들이다. 그러나 이런현실을 앞장서서 개선하여야 할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빠져 국민들을 계 속실망시키고 있다. 위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는 총체적 난국 을맞고있댜 그러나 잠시 숨을 멈추고 생각을 돌려 보자. 과연 이땅에는 정녕 미래가 없는 것일까 결코 고렇지는않다고 필자는 확신한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