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영 | t이 에 | 세 | 01 I 錦南正脈을끝으로 41岡 大正脈을 完走하다 서기 1800년경 제작된 산경표 (山經表)에 의 하면 우리나라 전국의 산줄기는 1대간 1정간 13개정맥으로 나뉘어 각 규정하고 있다. 1대간은 백두대간(自頭大幹鳩: 칭하며 백두 산을 시작으로 지리산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들 보 역할을 하는 가장 큰 등줄기이며 총도상거 리만도 약 652.2Km이고 실거리는 820Km나 된다 다음의 1정간은 함경북도의 백두대간상에 있는 고두산에서 시작하여 두만강을 따라 러시 아경계로 뻗어내린 산줄기를 말하며 이를 장백 정간(長自 正幹)이라 칭한다. 13개 정맥으로는 백두대간상의 산줄기를 일컫는다. 이를 구분하 면 낙남정맥 청북정맥 청남정맥 해서정맥 임전 북예성 남정맥 한복정맥 낙동정맥 한남금북정 맥 한남정맥 금북정맥 금남정맥 금남호남정맥 호남정맥 등으로 나뉜다. 그중 남한땅에 산재 함께 부분종주를 마천바 있으나, 한울산악회는 한 정맥은 모두 8개의 정맥인데 필자는 그가운 그날짜로 금납정맥 전구간의 완주를 마쳤지만 데 호남정맥(총도상거리398.7Km)과 금남호남 필간는 납은 구간인 주화산에서 업사리까지가 정맥 (총도상거리 63.3Km) 금남정맥 (총도상 미답구간으로 남아 있어서 그 납은 11개 구간 거리 188.4Km)등 3개 정맥을 각 완주를 하였 고 도 남한땅의 백두대간 (총도상거리 약 640Km와 실거 리 약 800Km넬 완주를 하였 으며, 2001. 5.20 현재 국내산 563개산과 국의 산 10개산을 완등하였으니 산악인으로써 마땅 히 그의무와 본분을 다하였다고 자부한다. 이번에 마지막으로 완주했던 금남정맥은 전 라북도 완주군과진안군의 경계에 있는모래재 위 주화산을기접으로종착지인충청남도부여 ·‘ •• 시 부여읍 쌍봉리에 있는 구두레나루터까지를 1999.12.5부터 2001.5.20까지 도합 15회에 걸쳐 완주를마치고나니 그감회 어찌 말로다 형 언할 수 있으며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금남정맥은광주에서 너무도 거리가 면 충청 남도 땅에 뻗어 있을 뿐 아니라 정기노선버스 마저도 안다닐 정도로 교통이 매우 불편한 산 간오지에 놓여 있어서 단독종주란 감히 생각조 차할수 없을 것 같아서 망설이고있던차에 마 침 광주에 있는 한울산악회에서 이미 주화산을 출발하여 논산군 두마면 엄사리까지 구간종주 를 마치고 그 다음 구간을 계속한다는 소식을 뒤늦게 집했던 것이다. 필자는 그 때부터 그 산 악회에 합류하여 업사리에서 부여읍 구두레나 루터까지 도합 4개구간을 4회에 걸쳐 그들과 에 대해서는 부득불 필자 단독으로 종주하지 않으면 안될 처지에 이른 것이다. 그 남은 구간 을 일행이 없다고 포기한다는 것은 도저히 자 존심이 허락되지 않아서 어떤 일이 있더라도 꼭 단독종주를 하고 말겠다는 굳은 결심을 하 기에 이르렀고 마침내 2000.12.31 필자단독으 로 주화산을 출발하여 11개 전구간의 어 려운 산행이 시작되었다. 단독종주는 자기 자신과 싸우는 산행이기에, 순간의 나태심만 가져도 대만법무사임~ 89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