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는 한자세대 (漢字世代 Chi nese charact ers generation)라고 할 수 ` ` 있는 구(舊) 세대와 영자세대(英年世代 : ` English letters generat~h)라고 할수 있는 f ,. 신(新) 세대가공존하여 살아가고 있다. 노 • .. 、 , ”· -’. 고리나 %H兩µi]대간에는 업청,냔 사고방식 _ ... . ,' (思考方式)과 생활강식 (生活樣합의<춧}로 ., - - 진정한 의미의 융합情好합을 이루지 홋E하고 물 • m ,....L 과기름처럼 유리(遊離)되어 살고있다. \ 신세대는 한글 전용정책,것r 건흙러성장하 '. 면서 한자교착을제대로 받지 못한 관계또신 문에 나오는 쉬운한자 단어마저 못읽고 못쓰 는지경에이르렀다. 옛날과 달리 요조음의 각 신문들흡 거 의 한 글로 표기하고 있우나 한글만으로는 뜻의 전 •• 달이 어럽거나모호한 일부 단어는한자를혼 용(混用)하고 있다. 고런데 고 혼용되는 극히 제한된 한자마저 읽지 못하는 신세대가 의외로 많다는데 문제 의 심각성이 있다. 대학을 나온 젊은이들마저 예외가 아니다. 아직도 대학의 전문서적들은 거의가 한지를 I 영 | t이 에 | 세 | 01 I 많이 사용화고 있다. 산세대가과연고서적들 은잘소화館化)해 나가는지 의문스럽다. 유능한 인재의 양성은 국가발전의 원동력 이고 국가간의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하 여는 각 전문분급遠투우숙한 두뇌의 확보가 필수조건이다. • 신세대라는 이유만으로 한자를 잘 모르는 ... .. ·'. 데 대한정당화는적지 못하다. . . --.---. -' ... , . \ 종국빈이냐일본인을 만다 전혀 의사 소통 이 안될 때 한자 단어를 써가며I손깃발짓을 . 가미하면 쉬운 대화는가능해전납. • 뇨. 세계화를 외치는 오늘의 상황너]서도 한자 교육의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학자는 수천년동안 우리민족이 사용하여 오면서 표음문자인 한글의 단접을 보완해주 는역할을하고있다. 최근에 신문에 게재된 기사를 예로 들겠다. 기사내용중에 정병과 ‘성문’이라는단어 가 있었는데 그 한글의 단어만 가지고는 무슨 뜻인지 얼른 감이 잡히지 않았으나 바로 이 어 서( ) 안에 制病) (聲紋)이라고 한지를 병기 (竝記)하였기 때문에 ‘무슨병을 핑계로 삽있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