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법무사 9월호

약속은 그 내용이 무엇이든 서로가 지킬 것으로 믿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것 은 서로의 신뢰 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 다. 제시 간에 나오겠다고 약속한 사람이 약속 을 지키지 않는다면 다른 약속이라고 반드시 지키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시간도둑은 신뢰의 파괴가 되는 것이다• 웃는사람이많을것이다. 우리는 너무나도많은 거짓말속에 젖어가며 살아왔고 또 살 고있는지도모른다. 한편 서구사람들은 몇시에 만나자고 약속을하면 미리 문 밖에까지 나와기다리고 있다가마치 제시간이 되면들어오기 라고하는 것처럼 1분도틀리지 않게 약속시간을지킨다고한 다. 늦는다 하여도 5분을 덥기지 않는다고 한다. 그 이상이 되 면 뜻하지 않은 일이 일어난 것으로 여겨도 된다. 서구사회에서는보통 약속시간보다 15분 가량은 기다려 준다고 하면서 그것이 예의로 되어 있다고 도한다. 우리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너무 많다. 30분 이상상대방을 기다리게 해 놓고도미 안하다는 걸치베 인사말로사태를 끝낸다. 기다리는 상대방쪽에서도 그 이상더 기다리계 만들어 주 지 않은 것만도 다행한 일이라고 여기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는몰라도아예 시간을약속할때 몇시 몇분쯤이라고 대총해두는것 같다. 이러함풍 조는우리사회에 만연되어 있을뿐만 아니라오히려 관행인 것처럼 되어 있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서구사회에서는 약속시간을 어기는 것을 시간도둑이라고 까지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반 면, 우리 사회에서는 약속을지키지 않아도도눅소리를 듣지는않는다. 이처럼 약속시간을 반드시 지 키지 않아도상관없다면구대여시간을지기려고애쓸필요도없을것이다. 그러나그러는사이에약속의 창뜻을서로가 잃게 된다는것을당사자들이 잊고 있는것이다. 약속 은 고 내용이 무엇이든 서로가 지길 것으로 믿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서로의 신뢰에 바탕을두고 있는 것이다. 제시간에나오겠다고 약속한사람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다른약속이 라고 반드시 지키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울것이다. 시간도둑은 신뢰의 파괴가 되는것이다. 서구사람들은 약속시간을 지기지 못하는 우리나라사람을 보고 민음성이 없다고 판단합지도 모른 다. 그러나 우리나라사람은 위와같이 생각 하는 서구사람을 암 수 없다며 고개를 갸우 뚱거릴런지도모른다. 우리나라사람들은신뢰의 찹뜻을 모르고 있는 것일까? 예사로운 거짓말괴 약속 불이 행은 민주시민의 긍지를 위해서도 빨리 버 려야할풍조다. ’ 姜 正 煥|법무사 대안법무사업외 79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