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법무사 6월호

대한법무사협회 73 친구(親舊) 해서 군자와의 사귐은 담백한 물과 같아서 변 함이 없으나 소인과 사귀게 되면 단술과 같아서 달콤하나변하기가쉽다고한다. 군자지교담여수 요(君子之交淡如水) 소인지교감약예(小人之交甘 若醴)라고 하는 말이 이것이다. 흔히들 말하기를 진정한벗의가치는진군자(眞君子) 세사람만있 으면 태산여호도 무서울 것이 없고 비록 맨주먹 붉은인생일지라도웬만한기업체를가진사람도 부럽지않다고하는말이있다. 또한군자와의사귐은의리로맺어지는것이기 때문에 그 다정스러운 것이 겉에는 나타나지 않 으나깊이가있고변함이없다. 소인의사귐은대 개가이(利)로맺어지기때문에이로울때에는말 이 달콤하고 극히 친한 것 같지만 불리할 때에는 냉정하게 돌아서 버린다. 오늘 친한 것이 내일에 가서 나타나고 아침에 다정하던 것이 저녁에 가 면식어진다. 그렇기에 진군자는 마땅히 사람을 용서할 줄 알지만 남으로부터 용서를 받는 사람은 되지 않 는다. 이를 두고 대장부당용인(大丈夫當容人)이 언정 무위인소용(無爲人所容)이라고 한다. 해서 우리는 마땅히 의리 있는 벗을 가려서 사귀어야 한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열매를 맺지 않는 꽃은 심지를 말고 의리 없는 벗은 아예 사귀지 말라고 했다. 이 말을 옮겨보면 불결자화휴요종(不結子 花休要種) 무의지붕불가교(無義之朋不可交)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의리있고 착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치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 되면그향기를모르게되지만곧그향기에동화 된다. 여선인거여입지란지실구이불문기향즉여 지화의(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基香 卽 與之化矣). 그러나악한사람과같이있으면마치 저린 어물전에 들어간 것과 같아 오래되면 그 악 취는 모르게 되나 역시 그 냄새에 물들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여불선인거여입포어지사구이불 문기취 역여지화의(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 久 而不聞基臭 亦與之化矣)라고 한다. 근묵자흑(近 墨者黑)이요 근주자적(近朱者赤)이라고 하는 말 과 같이 먹물을 가까이 하면 자연히 옷에 먹물이 묻게되고붉은물을가까이하면역시붉은물이 묻게마련이다. 이말은모두가환경의동화에피 할수없음을말하는것이다. 어느무명시인의글가운데이런말이있다.“난 초의향은하룻밤잠을깨우고좋은스승은평생의 잠을깨운다”라고했다. 좋은친구또한스승과마 찬가지이다. 착하고좋은친구를많이가지게되면 항상 백만대군을 거느린 것 같이 든든하고 난초와 같은깊은향이몸에베어서언행이착해지고사고 력과행동또한건전하기마련이다. 우리는 옛날부터 난(蘭)을 깊은 교우관계의 상 징으로 삶고 있기 때문에 그 향기에 취해서 친한 벗과의 관계를 난우, 난형, 난객, 난교(蘭友, 蘭 兄, 蘭客, 蘭交)라고도한다. 그런데 친구를 사귐에 있어서 그의 수완이나 재력을 볼 것이 아니라 그의 참된 마음씨와 의리 심이 중요하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은 외부에 나 타나지않기때문에겉으로봐서는잘모른다. 그렇기에 옛사람들은 말하기를 말(馬)은 길이 멀어야그의힘을알고사람은오래되어야그마 음을 안다고 했다. 노요지마력 일구견인심(路遙 知馬力 日久見人心). 그리고 이런 말도 있다. 범 을그리되가죽은그릴수있으나그의뼈는그리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