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法務士2 월호 1.세계적인 경제공황기에 이르러서는, 나눔 의 실천은 공황탈출을 위한 사회적 요구이기도하 다. 나눔과 실천의 이웃돕기사랑실천은 입으로만 외치는 구호가 아닌 실천 강령인 것이다. 그러나 나눔의 실천이 그리 손쉬운 일은 아닌 것이다. 남 을 도울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부유층 은 빈곤의 대물림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구실 아래 자기의 2세, 3세를 위해 비자금을 형성하여 해외에 호화주택을 마련해 주고 있지만 남을 위 한 이웃돕기 실천은, 자기에겐 해당 없는 남의 일 로 도외시하는게 우리 사회의 관행이었다. 그러나 요즈음 수년 사이에는 우리 사회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가 일고 있으니, 어느 시골 촌로가 평생을 안먹고 안쓰며 굶주림을 이겨내어 저축한 돈을 이 세상을 떠나기 전 생활정리를 함에 있어 그렇게 힘들게 저축한 돈을 자기의 자손이 아닌 학교법인이나 장학재단에 흔쾌히 희사했다는 신 문의 사회면 기사가 나눔의 실천을 못해본 부유 한 사람에게 큰 충격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선진국의 부유층은 돈을 벌어들이는 영리법인 을 대규모로 운영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벌어 들인 돈의 사회 환원을 위하여 복지법인도 아울 러 운영한다고 한다. 세계평화를 유지하고 인류문화발전을 위하여 지대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큰 상품을 주도록 하 라 유언하고 자기 재산의 대부분을 희사한 노르 웨이의 노벨도 바로 그러한 시범을 보인 사람인 것이다. 2.외국에서도 부유층의 모든 사람이 자기의 소득금을 사회에 환원시킨 것은 아니되, 소득의 사회환원, 다시 말해서 이웃사랑을 위한 나눔과 섬김을 실천하는 사람이 우리보다 많다는 것이다.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은 다이너마이트 (당초엔 니트로글리세린)를 발명하고 판매한 과 학자이며 사업가였다. 隨│想 나눔과섬김의 사랑실천 I I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