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법무사 4월호

14 法務士4 월호 문 분야에서 권위 있는 잡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우리 회원들께서도 이를 통 해 어떤 학습도 할 수 있으며 법무사지가 회원 들에게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런 잡지 로 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생각 한다. 내부의 소통과 법무사 업무를 함에 있어 서 상당히 지침이 될 수 있는 법무사지가 되어 야 한다. 전문성 부분에 있어서 거의 일상적인 자료수준이며 있으나 없으나 마찬가지인 수준 이다. 실무를 하면서 이론적인 면에서 문제 제 기를할수있고업무를주도해나갈수있는 깊이 있는 내용을 법무사지가 담아 나가야 한 다고생각한다. 송태호 상당히 조심스러운 얘기이지만 법무사저널 의 7년간의 실험은 성공적이었다고 분석을 한 다. 법무사저널은 중앙회에서 발행하는 잡지였 으므로 법무사지와 다른 점도 있겠지만 어쨌든 그러한 경험도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므로 그 비교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법무사지가 회원들의 통합과 업계에 대한 홍 보와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는 큰 역할을 했 어야 옳다. 그런 면에서 참석자들께서 지적하 신대로 5,900명의 법무사단체가 발행하는 잡 지라고 선뜻 내놓기가 힘든 그런 잡지였지 않 은가 생각을 해본다. 법무사들 중에는 익숙해진 틀을 깨트리는 것 을 조심스러워하는 분들도 있다. 그래서 법무 사지를 내부의 자료집 정도로 이어가고 별도의 홍보지 형태로 무언가가 탄생했으면 하는 이런 희망도있다. 법무사저널이 그동안에 어떤 기능을 했는지, 어떤 효과를 거두었는지를 요약해서 설명하겠 다. 법무사저널이 지난 7년간 거둔 성과라고 한다면 7번의 학술세미나의 개최이다. 처음 시 작할 때는 어색했지만 갈수록 질도 높아지고 상당한 호응도 있었다. 세미나를 통해서 우리 가 많은 것을 배웠고 또 그때그때마다 이슈를 정리하는 역할을 해왔다. 법무사저널이 발전되 면서 법조계에서는“이만한 잡지가 없다. 가장 훌륭한 잡지다”라는 평가도 받았다. 법원행정 처에 자료집으로 채택되어 분석되어지고, 다른 자격사단체장 책상 위에 올라가 있기도 하여 법무사업계의 위상을 제고시키는 역할을 했다. 7년 동안 발행한 법무사저널을 분야별로 분석 해보니 단행본으로 책을 발행해도 몇 개가 나 올 수 있는 그런 자료가 모아졌다고 한다. 법무 사저널을 만들면서 30여 명의 편집위원들이 관여했다. 이분들이 거의 싱크탱크의 역할을 했다. 또한학계의교수님등필자들이법무사 업계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법무사 업계가 상당한 수준의 잡지를 만들고 있다는 인식을 주었다. 또 하나는 각종 시민단체들이 주목을 하기 시작했다. 시민단체들을 초청해서 좌담회를 개최한 적도 있었다. 법무사저널 7년 이 업계에 미친 영향이 매우 컸으므로“이와 같 어떤 주장과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느냐에 대해서확인할수있는, 우리전문분야에 서 권위 있는 잡지가 되어야 한다. [구숙경법무사] • • . ..t; •• • • • • • • I • •••• • • • • • • • • • • • • • • • • . • ’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