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법무사 10월호
70 法務士 2010년 10월호 “한국어는그리스어와함께우수한� 알파벳표 기체제를 갖춘 매우 경제적 민주적인 문자이 다.”그리스 아테네 대학 바비니오티스 (George Babiniotis) 총장의 감탄의 말이다. 1960년대 미국 하버드대 라이샤워(E. O. Reischauer) 교수와� 페어 뱅크(J. K. Fairbank) 교수는 <동아시아 그 위대한 전통> 이라는책에서한글의과학적우수성을평가했 다. 언어학자 포스(Frits Vos)는 1963년 미시 간 대학 <동아시아 언어 논문집>에서 한글이 벨의‘보이는 음성’에서 제시한 아이디어보다 4백년앞섰다고경탄하였다. 소설‘대지’의작 가 펄벅도 한글이야 말로 세계에서 가장 빼어 난 단순 글자이며 자음 모음을 조합하면 어떤 언어와 음성이라도 표기할 수 있다고 극찬을 마지않았다. 이처럼세계유수의언어학자들이우리한글 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입을 모아 그 과학적이 고 독창적인 뛰어남을 말하고 있다. 그뿐인가, 이름 있는 패션 디자이너로 알려진 프랑스의 이렌반리브는“한글은현대적인디자인에잘 어울리고 그래픽 적이다”라고 했다. 한글이 디 지털 시대에 꼭 맞는 우수한 문자일 뿐 아니라 디자인측면에서도세련된기호라는것이다. 관련 당국이 밝힌 바에 따르면 현재 한국어 사용인구는7,800여만명으로세계언어국 13 위에 이르고 세계지적재산권기구는 한국어를 9번째 국제 공개어로 채택했다. 또 한국어 학 과와 강좌를 개설한 외국 대학이 54개국 642 곳에 이른다고 한다. 앞으로 이런 현상이 더욱 늘어날 것을 추산하면 퍽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없다. 이른바‘꿈의 알파벳’으로 칭송받는 한글은 기계화, 정보화, 산업화의 가능성이 무한히 열 려 있는 국가의 보물임을 다시금 깨닫는다. 사 실 한국이 인터넷 강국인 이유는 역동적 국민 성과 말을 그대로 표기하여 자음과 모음이 환 상적으로조화되어빠르게언어를정보화할수 있는한글덕분이라고한다. 다시더말하면국 가브랜드를높이는문화상품으로서도훌륭하 며 글자가 없는 민족에게 소리글을 만들어 주 는 최적의 문자로도 적합하다는 것이다. 한 예 로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문자 로 채택한 것이 바로 그� 방증이다. 최근 뉴욕 타임스는‘한국의최신수출품한글’이란제하 에대대적으로그사실을소개한바있다. 우리 는 이러한 고무적인 일들을 계기로 한글이 가 지는 과학성·독창성·합리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일은 물론이려니와 이와 함께 정보화 적합성, 디자인적 조형미를 살려 세계 상품시 장 개척에도 지혜를 모았으면 한다. 우리 한글 의독창성·과학성·대중성·평등성등더나 아가 미학적 장점까지 아우르는 그 실용적 가 치는 이미 보편성을 띈 국제적 브랜드로 손색 이없다. 세계로진출을넓혀우리의얼과혼이 담긴 한글을 보급시키는 데 온 힘을 기울인다 면 국격을 높임은 물론 보이지 않는 정신적 유 대를 통하여 친화력을 갖게 하고 국가 간에 그 러한 정신적 영토의 확장으로 상호 이해와 경 제 발전을 이루는 부수 효과도 거둘 수 있으리 라믿는다. 작금정부에서도우리한글을국가브랜드로 오, 빛나라. 우리 자랑 한글 j.수상한글69-71 2010.9.29 23:32 페이지70 001 Adobe PDF 2540DPI 175LPI T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