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법무사 2월호

권두시론5 은 100% 온전한 섬(完島, 全島)이고, 반도는 50% 불완전한 섬이라는 것이다. 섬은 정상적인 것이고, 반도는 비정상적인 것이다. 지구에서 보 면, 대륙이 원칙이고, 섬이 예외이다. 그런데, 왜 섬의 입장에서 섬을 기준으로 한 '반도(半島)'라 는 단어가 탄생되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삶의 터전을 부르는 용어, 주체적으로 바로잡아야 둘째, 반(半)이라는 말이 들어간 점이다. 우리의 역 사를 보면, 현재 남북으로 두 동강이 나 있고, 과거 위 로는 고구려, 아래로는 신라와 백제로 크게 2등분되어 있었다. 반이라는 단어는 분열을 뜻하고, 모자람을 뜻한다. 항상 열등감을 가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 다. 항상 내 기준이 아니라 남의 기준에서 살려고 하는 눈치문화를 낳을 수 있다. 완성은 항상 남의 것이며, 그 쾌감을 맛보지 못하고 항상 저 멀리 남의 것으로 생각하며 살아갈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한반도'는 대륙도 아니고 섬도 아니다. 반은 대륙이고 반은 섬이다. 대륙의 입장에 서 보아도 예외이고, 섬의 관점에서 보아도 예외이다.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완전하지 않고 불안정하다. 역사 적으로 주도권을 잡기보다는 누가 주도적으로 결정해 주는 것을 따라야 한다. 현재 남북간에 체결된 휴전협정 도 우리가 주체가 되어 체결한 것이 아니다. 근원적으로 볼 때, 언제, 누가, 왜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영어의 'Peninsula' 를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이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 번역도 우리가 주체적으로 한 것이 아니 라, 남이 한 것을 편하게(?) 혹은 아무런 생각 없이(?) 사용하게 된 것이라 생각한다. 오히려 한반도라는 단어 가 남북분단을 극복하고, 우리 민족의 화합을 가져오는 아름다운 단어로 승화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 우리의 입장에서 과거를 추적하여 이를 규명하는 일도 중요하겠지만, 오랫동안 이 말을 사용해 온 우리는 과연 앞으로도 계속 변함없이 섬의 입장에서 그대로 사용할 것인가 하는 점에 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할것이다. 지금 우리는 학교에서 역사교육이 제대로 안되어서 어릴 때부터 역사의식을 가지지 못하고, 외교적으로도 우리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비판하고 있다.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하여야 한다는 주장과 먼저 역 사의 내용을 올바르게 다듬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두 가지 모두 역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민족의 탄생과 삶의 터전을 부르는 이름조차 떳떳하게 가지지 못하고, 남이 번역하여 붙여준 말을 그 뜻 도 모른 채(?) 너무나 당연하게 사용해 온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고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에 관하여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 어떤 점에서는 대안을 이야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한반도'라는 용어 자체를 한 번 생각해 보고, 우리의 생각을 모아보자는 것이다. 이제 서서히 우리가 세계 역사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야 할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 준비의 시작으로 '한반도'라 는 이름부터 바로잡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한반도'는 대륙도 아니고, 섬도 아니다. 반은 대륙이고 반은 섬이다.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완전하지 않고 불안정하다. 언제, 누가, 왜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영어의 Peninsula를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이 번역하여 붙여준 말을 그 뜻도 모른 채(?) 당연하게 사용해 온 현실을 직시하고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