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포커스 SN$(Social Network Service) 와 법무사 법무사의트위터 • 페이스북등SNS활동, 업무특성상아날로그방식이 더중요할수도 배 상 혁 1 대한법무사협회 정보화위원회 위원 1. SNS의 개념과 동향 2009년 말 애플사의 아이폰이 국내에 도입되면 서 주변에서 자주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SNS,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단어들이다. 최근에는 신 문이나 뉴스, 포털 사이트 등에서 어느 네티즌의 ‘트위터’ 문구를 인용한 여론 동향 기사도 자주 볼 수 있다. 얼마 전에는 페이스북의 창립자인 마 크 주커버그의 창업 스토리를 다룬 영화 「소셜 네 트워크」가 개봉돼 화제를 낳기도 했다. SNS는 ‘Social Network Service(사회망 서 비 스)’ 의 약자로, 네이버 지식사전의 정의에 의하면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 는 서비스. 이용자들은 SNS를 통해 새롭게 인맥 을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국내의 대표적인 SNS로는 ‘싸이월드’를 들 수 있다”는것이댜 그러니까 SNS는 ‘사람과 사람의 연결’ , ‘연결 을도와주는도구’, ‘정보와경험등의공유’, ‘새 로운 관계로의 확장 등 몇 가지 키워드로 정의할 수 있는 정보통신 시대의 신조어다. SNS는 최근 34 法務士2011년 10월호 들어 폭발적인 성장을보이고 있는데, 페이스북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이미 6억 명의 이용자를 넘어 섰으며, 올해 말에는 9억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 된댜 트위터와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을 모두 합 하면, 현재 SNS 이용자는 1천 만명을 넘어선 상 태다. 이러한 SNS의 성장은 2008년 미국의 대통령 선거가 기폭제가 됐다. 경쟁상대에 비해 조직이나 자금력에서 열세였던오바마후보는트위터를이 용해 13만 명의 사람과 친구를 맺고 대선과정에서 빠른 시간 내에 정치의 중심에 등장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9년 김연아 선수가 트위 터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트위터 붐이 일기 시작 했댜 전세계적으로는 이란과 중국, 이집트 동의 정치 시위 소식이 트위터에 올라오면서 트위터가 단순한 소통의 도구를 넘어서 누구나 뉴스 정보를 생산하고소비하는혁명적인 1인 미디어’의 시대 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SNS의 미디어적 속 성은 챠스민 혁명’이라불리며 세계적인 민주화 열풍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받기도 한댜
RkJQdWJsaXNoZXIy ODExNjY=